美, '재앙적 위기' 아프간에 3억달러 원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탈레반 집권 이후 인도주의적 위기가 커져가는 아프가니스탄에 3억800만달러(약 3665억원)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재정 지원은 지난해 10월 이후 총 7억8200만달러로 늘어났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철수를 발표하면서 아프가니스탄의 보안군과 여성, 아동을 포함한 민간 프로그램에 대한 원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미국이 탈레반 집권 이후 인도주의적 위기가 커져가는 아프가니스탄에 3억800만달러(약 3665억원)를 지원한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에밀리 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 국제개발처(USAID)를 통해 독립적인 구호단체에 투입하게 될 구호 자금은 긴급 의료, 비상 식량과 물, 위생 등의 분야에 사용될 것"이라 밝혔다.
이에 따라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재정 지원은 지난해 10월 이후 총 7억8200만달러로 늘어났다.
이번 발표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역사상 최악의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는 유엔의 경고에 이어 나온 것이다. 유엔은 아프가니스탄의 '즉각적이고 재앙적인 위기 해결'에 44억달러의 원조가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에는 전체 4000만 인구의 절반이 극심한 기아, 질병,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올 겨울철 110만명의 어린이가 사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유엔은 밝혔다.
아프가니스탄 빈곤층은 지난 2020년 72%에서 올 상반기 말 기준 97%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만성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은 지난해 8월 탈레반이 정권을 장악한 이후 인도주의적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아프가니스탄은 정부 예산의 80%가 국제원조로 유지됐지만 탈레반 장악 이후 동결 조치로 자금 유입이 모두 끊긴 상태다.
게다가 최근 수도 카불을 포함한 아프가니스탄 중부와 북부에 내린 이례적인 폭설과 수십년 만의 최악의 가뭄을 겪으면서 빈곤과 실업 등 민간의 피해는 커지고 있다.
USAID는 별도 성명을 통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탈레반에 여성 활동가에 대한 탄압을 멈추고 이들의 독립적이고 안전한 활동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철수를 발표하면서 아프가니스탄의 보안군과 여성, 아동을 포함한 민간 프로그램에 대한 원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안 먹어요 석열씨"…尹 체포에 '구치소 선배' 조국 밈 등장 - 아시아경제
- "저 중국인 아닙니다"…한국 올 때 '이 스티커' 꼭 붙인다는 대만인들 - 아시아경제
- 직원들에 나눠준 복권 12억 당첨되자 "가져와, 다 같이 나누자" - 아시아경제
- "내 노래가 이렇게 개사되다니"…尹 헌정곡 합창에 원곡자도 '당혹' - 아시아경제
- "아침밥 안 해주는 여자 바람 필 듯"…기안84 발언에 때아닌 설전 - 아시아경제
- "홍상수·김민희 커플 임신…올 봄 출산 예정" - 아시아경제
- "아이 치아 부러졌으니 부모가 3000만원 줘야"…재판부 판단은? - 아시아경제
- "아이만 탔다면 옆좌석 남자 안돼"…이유 물으니 "성범죄 98% 남자여서" - 아시아경제
- "뭔죄가 있다고 잡혀가나"…배우 최준용 부부, 尹 체포에 오열 - 아시아경제
- "안내견은 위험해서 안됩니다" 다이소 매장에서 시각장애인 앵커가 당한 차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