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NFT, P2E. 왜 찬성하고, 왜 반대하나?
지난해 ‘미르4 글로벌’의 흥행으로 게임 업계의 새로운 화두가 된 NFT(Non Fungible Tokens, 대체 불가능한 토큰), P2E(Play to Ear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리니지M 등 기존 강자들에 밀려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던 미르4가 해외에서 P2E 게임으로 변신하면서 이용자가 급등했고, 그 결과 위메이드 주가가 출시 전과 비교해 몇 배 이상 치솟았기 때문이다. 지나친 확률형 뽑기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게임을 즐기면서 돈도 벌 수 있는 개념이 이용자들에게 신선한 느낌을 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같은 열풍 때문에 위메이드, 엔씨소프트, 컴투스홀딩스, 네오위즈, 카카오게임즈 등 대부분의 게임사들이 NFT, P2E를 올해 주력 사업으로 선택하고,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태다.
다만, NFT, P2E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만 있는 것은 아니다. 게임 재화의 현금화 문제 때문에 제2의 ‘바다이야기’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이용자들 사이에서도 게임에 코인이 개입되는 것을 싫어하는 이들이 많다. 실제로 유비소프트가 최근 출시한 NFT 플랫폼인 쿼츠는 이용자들에게 철저히 외면당했으며, NFT를 적극 검토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던 세가도 이용자들이 원치 않으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한발 물러서기도 했다.
NFT, P2E를 찬성하는 이들은 이용자들이 재화를 획득하기 위해 투자한 시간을 자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동안은 이용자들이 열심히 노력해서 재화를 획득하더라도, 이에 대한 가치를 정당하게 인정받기 어려웠으나, NFT, P2E가 도입되면 이용자들이 이를 손쉽게 자산화하고, 게임에 재투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위메이드의 위믹스 플랫폼처럼 여러 게임들이 같이 서비스되고 있다면, A 게임에서 벌어들인 자산을 B 게임, C 게임에 투자할 수도 있는 거대한 게임 생태계가 만들어진다. 물론 이전에도 아이템 거래 사이트를 통해 재화를 현금화하는 방법이 있긴 했으나, 아이템 거래 사이트는 개인간 거래를 중계만 하고 책임지지 않은 형태이기 때문에 거래 사기 등의 위험이 많았다. 만약 NFT 생태계가 제대로 운영된다면 사기 등 거래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대폭 낮아진다.
게임사 입장에서도 기존에는 매출 증대를 위해 확률형 뽑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NFT, P2E가 활성화되면 다수의 이용자 확보에 도움이 되며, 거래소 수수료 등 수익원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NFT, P2E를 반대하는 측에서는 사행성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의 목적이 재미가 아니라 돈이 된다면, 과거 ‘바다이야기’과 다를 게 없다는 것이다. 현재 많은 모바일 게임에서 자동 전투가 필수가 되고 있다 보니, 사실상 인간 채굴기가 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또한, 코인을 획득해서 파는 사람들만 대폭 늘어나게 된다면,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코인의 가치가 폭락하게 되며, 그 결과 정상적으로 게임을 즐기는 이들까지 피해를 보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실제로 NFT 대표 게임으로 불리는 액시 인피니티의 경우 극심한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현재 코인의 가치가 전성기의 절반 이하로 떨어진 상태다.
NFT, P2E 생태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재화를 팔아 코인을 벌고, 그렇게 구입한 재화가 게임 내에서 끝없이 소비되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코인의 가치가 유지되는게 중요하다. 하지만, 돈이 목적이 된다면 파는 사람만 늘어나고, 사는 사람들은 소수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치가 폭락하게 된다. 현재 NFT, P2E 게임들이 막 만들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보니, 재화의 소비 구조를 제대로 구축하기 못했기 때문이다.
현재 코인 시장이 투기 세력으로 인해 지나치게 과열되고 있다 보니 시세가 급변하는 경우가 많아, 게임 이용자들이 예상치 못한 외부 요인에 의해 재화의 가치가 급변할 위험성이 높은 것도 문제로 꼽힌다.
결국, NFT, P2E 쟁점은 게임 플레이가 ‘바다이야기’와 다르다는 것을 게임사가 증명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을 수 밖에 없다. 단순히 돈을 써서 돈을 벌어가는 구조가 된다면 제2의 ‘바다이야기’가 되는 것이고, 재미가 핵심이고, 수익은 그로 인한 부산물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게임 업계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어 보인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Copyright © 게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컴투스 그룹, 블록체인·메타버스 분야 경력직 특별 채용..'업계 최고 연봉'
- 2021년 판매된 가장 비싼 게임 NFT는?
- 위메이드-엠게임, 블록체인 사업 협력
- 라테일, ‘카드캡터 체리: 클리어 카드’ 콜라보 및 겨울 업데이트 진행
- [루머] 닌텐도 스위치2 조이콘 유출
- 크리스마스는 게임 하는 날! 넷마블, 인기 게임 11종에 이벤트 마련
- 네오플 박종민 총괄 디렉터 “2025의 던파는 파밍과 득템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
- 서브컬처 팬 위한 축제의 장 AGF 2024, 게임사도 집결해 다양한 작품 공개
- “GTA6 너마저”... 다양성 관련 정책에 이용자들 ‘불안’
- "근들갑 떨만 했다." 메이플, 2025년까지 풍성한 콘텐츠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