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도시 인구 연간 180만 명 초미세먼지 탓에 조기 사망"
전 세계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 가운데 연간 180만 명이 초미세먼지(PM2.5)로 인한 대기오염 탓에 조기 사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 워싱턴 대학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 연구팀은 최근 국제 의학 저널인 '랜싯 플래닛 헬스(Lancet Planet Health)'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2019년 기준으로 전 세계 도시인 중 180만 명이 초미세먼지 오염 탓에 조기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초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면 심혈관 질환과 호흡기 질환, 폐암, 하기도 감염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걸리고, 이로 인해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세계 도시 평균 WHO 권고기준의 7배
분석 결과, 인구밀도를 고려한 전 세계 도시의 평균적인 초미세먼지 오염도(평균 도시 인구 가중 농도)는 2019년 ㎥당 35㎍(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이었다.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는 초미세먼지 연평균 권고 기준을 10㎍/㎥에서 5㎍/㎥로 강화했는데, 연구팀이 산출한 전 세계 도시의 평균 오염도는 과거 권고 기준의 3.5배, 새 권고 기준의 7배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또 전 세계 도시 인구의 86%가 기존 WHO 기준치(10㎍/㎥)를 초과하는 지역에서 살고, 대부분의 도시 인구가 현재 기준(5㎍/㎥)보다 오염도가 높은 곳에서 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우는 2019년 초미세먼지 전국 평균 오염도가 23㎍/㎥였고, 2020년에는 19㎍/㎥, 지난해는 18㎍/㎥로 개선됐다.
연구팀은 2000년의 경우 전 세계 도시의 초미세먼지 인구 가중 평균 오염도가 35㎍/㎥로 2019년과 동일한 것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다만, 지역별 변화 추세는 차이를 보였다. 유럽·아메리카·아프리카는 감소 추세를 나타냈고, 한국·중국이 포함된 서태평양도 감소했다.
아프리카의 경우 지역 전체 평균 농도가 2000년 43㎍/㎥에서 2019년 35㎍/㎥로 18% 줄었다.
한국·중국 등 서태평양의 경우 2000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을 고비로 줄기 시작했다.
반면 인도가 포함된 동남아시아 지역은 49㎍/㎥에서 62㎍/㎥로 오염이 27%나 증가했다.
10만 명당 61명 꼴 조기 사망
이를 전 세계 도시 인구에 적용하면 2019년 180만 명이다. 2000년 130만 명보다는 50만 명이 증가했다.
서태평양의 경우는 10만 명당 86명으로 동남아시아 84명보다 사망률이 높았다. 2000~2019년에 동남아시아의 경우 사망률이 33% 증가했고, 서태평양은 사망률이 14% 증가했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는 세계 도시 평균보다 낮았는데, 아프리카는 사망률이 10만 명당 51명에서 31명으로 40% 감소했다. 유럽도 74명에서 50명으로 33% 감소했고, 아메리카는 25명에서 18명으로 29% 줄었다.
이번 논문의 분석 결과, 도시와 농촌을 망라한 전 세계에서 연간 400만 명 이상이 초미세먼지로 인해 조기 사망한다는 기존 보고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전 세계 도시화율이 55% 수준임을 고려할 때 이번 논문은 과거보다는 초과 사망자 숫자를 낮게 평가한 셈이다.
WHO 기준 충족하면 조기 사망자 121만 명 줄어
연구팀은 또 2000~2019년 사이 19년 동안 전 세계에서 초미세먼지로 3050만 명이 조기 사망했는데, WHO 권고기준을 지속해서 충족했다면 19년 동안 960만 명의 조기 사망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계산했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은 인구 증가와 인구 고령화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초미세먼지 오염도를 현저히 낮추지 않으면 (사망률이 아닌) 전체 조기 사망은 줄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2000년과 2019년 오염도는 같은데 조기 사망이 50만 명 늘어난 이유다.
특히,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서태평양의 경우 2000~2019년 초미세먼지 오염도는 42㎍/㎥에서 37㎍/㎥로 12% 감소했지만, 초미세먼지로 인한 전체 조기 사망은 52만5400명에서 75만4000명으로 44% 늘었다.
오염도가 낮은 유럽에서는 20㎍/㎥에서 16㎍/㎥로 오염도가 20% 줄었는데, 조기 사망은 23만7600명에서 18만2000명으로 23%나 줄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일부 개선에도 불구하고 초미세먼지 오염은 세계 도시 지역의 중요한 공중 보건 위험 요소로 남아 있다"며 "초미세먼지로 인한 도시 건강 부담을 줄이려면 오염 배출을 억제해 노출을 줄이는 등 전반적인 공중보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응급실서 '가슴 쿵쿵' 취객 몰린 男, 가슴에 '시한폭탄' 있었다 [더오래]
- [속보] '오징어게임' 오영수,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 수상
- [단독] "떡볶이집이 3000만원" 임대료 6배 대관령휴게소 비밀
- "일본, 한국에 진다…G7 뺏길 것" 일본인에 팩폭 날린 일본 석학
- "밀린 월급 줘요" 직원에 동전 9만개 와르르...동전 테러의 최후
- 여친 집에서 정체 모를 피임기구가…지하철 '체액테러' 그놈 짓
- 한국에 퍼지는 '주 4.5일제'…2년 전 4일제 먼저 한 기업 성과보니
- [이번 주 핫뉴스]‘먹는 치료제’도입… 기준금리 오를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10~16일)
- 삼전 매출 300조 깬다…'1분기 70조원' 승부 가를 변수 5가지
- 산속 동굴에 숨는 북한 전투기···'비밀의 지하 활주로' 딱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