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탁원, 지난해 단기사채 자금조달 1243조7000억

이선애 2022. 1. 10. 1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단기사채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가 124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단기사채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전년(1031조3000억원) 대비 20.6% 늘어난 12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만기별로는 3개월물 이내 발행량이 전년(1028조1000억원)에 비해 20.5% 증가한 1238조7000억원으로 전체 발행량 중 99.6%를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선애 기자] 지난해 단기사채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가 124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단기사채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전년(1031조3000억원) 대비 20.6% 늘어난 12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일 평균 발행금액은 5조원으로 1년만에 9000억원이 늘었다.

단기사채란 기업이 만기 1년 이하, 1억원 이상 발행 등 일정 요건을 갖춰 발행하는 사채다. 전자등록기관을 통해 발행, 유통, 권리 행사 등을 전자적으로 처리한다. 제도 도입 이후 대체로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지난해까지 총 8150조3000억원 발행됐다고 예탁원은 설명했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일반 단기사채는 1020조8000억원, 유동화 단기사채는 222조9000억원이 발행됐다. 전년 대비 각각 22.9%, 11.1% 증가한 규모다.

만기별로는 3개월물 이내 발행량이 전년(1028조1000억원)에 비해 20.5% 증가한 1238조7000억원으로 전체 발행량 중 99.6%를 차지했다. 예탁원은 3개월물 이내 발행량이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증권신고서 제출 시 발행분담금 납부 등 각종 비용 부담 발생으로 만기 3개월 이내 발행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중 초단기물(7일물 이내)은 전년(636조9000억원)보다 22.9% 늘어난 782조9000억원이 발행됐다. 초단기물 중 증권사의 발행액은 624조4000억원으로 전년(511조6000억원)에 비해 22% 증가했다.

신용등급별로는 A1, A2, A3, A4, B이하 순으로 신용등급이 낮아질수록 발행량이 줄었다. 이중 A1등급의 발행이 1172조3000억원으로 전년(947조2000억원)보다 23.8% 늘었다. 전체 발행량에서는 94.3%를 차지했다. 이어 △A2(55조7000억원) △A3(14조3000억원) △B이하(1조4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증권회사가 전년(577조8000억원)보다 23.7% 늘면서 715조원을 기록했다. 유동화회사는 200조7000억원에서 222조9000억원으로 11.1% 증가했으며 22% 증가율을 보인 카드·캐피탈 등 기타 금융업은 165조9000억원에서 202조4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일반·공기업 등에서는 103조4000억원이 발행되면서 전년(86조9000억원) 대비 19% 증가했다.

한편, 단기사채제도는 기업어음을 대체하기 위해 2013년 도입된 제도로, 전자증권법 시행에 따라 기존의 ‘전자단기사채’라는 명칭이 ‘단기사채’로 변경됐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