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 난입사태 1년] 한국계 의원, 민주주의 수호자 재평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폭도들의 난입으로 엉망이 된 미 의회 의사당에서 무릎을 꿇고 청소를 하던 한국계 앤디 김 연방 하원의원(민주당)의 모습이 1년 만에 다시 회자하고 있다.
김 의원의 양복은 주 방위군과 의회 경찰 휘장, 폭도들의 무기 등과 함께 의사당 난입 사건이 미국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시물로 보존될 예정이다.
미국사 박물관은 김 의원의 양복을 가장 중요한 전시물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소 당시 입었던 양복은 국립 박물관에 전시 예정
"1월 6일 기억하고 논의해야"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폭도들의 난입으로 엉망이 된 미 의회 의사당에서 무릎을 꿇고 청소를 하던 한국계 앤디 김 연방 하원의원(민주당)의 모습이 1년 만에 다시 회자하고 있다. 무너진 미국 민주주의의 희망을 남겼다는 평가다.
NBC방송, 폴리티코는 6일(현지시간) 당시 행동에 대한 김 의원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김 의원의 청소는 당시에도 큰 화제가 됐지만, 사태 1주년이 된 시점에도 관심이 여전하다. 미국의 갈등이 사라지지 않는 상황에서 새로운 희망을 주는 상징적인 모습으로 평가 받고 있다.
김 의원은 NBC와의 인터뷰에서는 이민자 경험이 당시 상황에서 청소하게 만든 배경으로 설명했다. 그는 "부모님이 강조하시던 나라 사랑과 봉사가 떠올랐다. 나에게 의사당 청소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대통령 선거 결과 확정만큼 중요했다"라고 말했다. NBC방송은 김 의원을 '민주주의의 수호자'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난입 사태 후 처음 큰 아이를 만났을 때 아이가 "아빠 괜찮아요?" 물으며 자신을 안아줬다고 회상했다. 아이도 나쁜 일이 있었다는 것을 알았던 셈이다. 김 의원은 바로 답을 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1월 6일을 어떻게 우리 역사에 반영하고 논의할 지에 대한 숙제가 남았다"라고 말했다.
이 숙제를 위해 김 의원은 당시 입었던 양복을 워싱턴에 있는 국립 스미스소니언 미국사 박물관에 기부했다. 김 의원의 양복은 주 방위군과 의회 경찰 휘장, 폭도들의 무기 등과 함께 의사당 난입 사건이 미국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시물로 보존될 예정이다.
미국사 박물관은 김 의원의 양복을 가장 중요한 전시물 중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 엘리자베스 맥밀런 미국사 박물관장은 "미국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낸 사건을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보존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청소만으로 1월 6일을 기억하려 하지 않는다. 그는 "내가 해야 할 일은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다짐했다. 김 의원은 또 "어떻게 이 나라를 치유할지 고민하게 된다. 우리는 서로를 적으로 여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목줄 풀고 미친 듯이 뛰어 내려왔다"…산불 속 남겨진 반려견들 - 아시아경제
- "껌 씹은지 2분 내 수천 개 나온다"…美 연구진, 미세 플라스틱 연구 - 아시아경제
- 수술 후 안 쓰던 영어 '술술'…세계 9명만 겪은 '외국어 증후군'? - 아시아경제
- 17세때 김수현과 카톡 공개한 김새론 유족 "진실공방 원치 않아" - 아시아경제
- 거대한 '연기 기둥' 솟은 한반도…나사가 공개한 한국 산불 사진 - 아시아경제
- "청소에 방해된다"…생쌀에 살충제 섞어 비둘기 11마리 죽인 50대 - 아시아경제
- "계좌이체 하지 마세요"…안성재 주의보 발령 나온 까닭이 - 아시아경제
- 김수현, 대만 팬미팅 결국 취소…"일정 조정으로 불참" - 아시아경제
- [단독]"분진으로 폐질환, 왜 경고 안 했어요?"…5조 소송 위기에 몰렸다 - 아시아경제
- "왜 이럴까"…수족관서 '70만원 유모차' 빌려줬더니 들고 사라져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