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조선인 지능 상상 이상 낮아, 갱도 내 업무 적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과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후보로 선정했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일제강점기 당시 광산 운영회사의 보고서를 보면, 조선인을 열등한 존재로 깎아내리는 표현이 곳곳에서 확인됩니다.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에 조선인 강제동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중일전쟁이 벌어지던 1939년.
같은 해 여름 사도광산 운영사인 미쓰비시광업이 일본광산협회에 제출한 조선인 노동자 관련 보고서.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본이 과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후보로 선정했다고 전해드렸는데요. 일제강점기 당시 광산 운영회사의 보고서를 보면, 조선인을 열등한 존재로 깎아내리는 표현이 곳곳에서 확인됩니다.
도쿄 유성재 특파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에 조선인 강제동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중일전쟁이 벌어지던 1939년.
탄광 갱도에서 일한다는 설명도 없이 동원돼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들은 이듬해인 1940년 2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90여 명이 참여한 파업을 벌입니다.
노동 조건 개선과 임금 인상을 광산 측에 요구한 것입니다.
같은 해 여름 사도광산 운영사인 미쓰비시광업이 일본광산협회에 제출한 조선인 노동자 관련 보고서.
4월 파업의 원인으로 "조선인의 지능과 이해 정도가 상상 이상으로 낮아 의사소통이 부족했다"고 지적합니다.
또 "소수 불평분자의 선동에 혹해 부화뇌동하는 성질이 드러났다"고도 썼습니다.
광산 측은 분쟁을 막기 위해 이른바 '불량 노동자'로 지목한 조선인은 엄격히 사찰하고, 다른 조선인 노동자들도 촘촘한 '그물망'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방침까지 적어놨습니다.
그러면서, 조선인은 "대부분 힘쓰는 일을 주로 하는 갱도 내 업무가 적절하다"고 깎아내렸습니다.
[고바야시/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 : (사도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회사가 그런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일본의 대부분의 노동 현장에서 조선인은 그런 차별적 환경에서 일해야 했습니다.]
강제동원도 모자라 민족적 멸시까지 만연했던 당시 노동 환경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세계유산 등록 추진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문현진, 영상편집 : 유미라)
유성재 기자venia@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9개월 딸 투약사고, 묻자 “항경련제”…“잘못되면 소송해”
- 웨딩업체 돌연 폐업, 대표는 잠적…날벼락 맞은 수백 쌍
- 7층 상가 건물 기둥 '균열' · 주변 '땅꺼짐'…수백 명 대피
- 탈시설 뒤 자립하려 모은 전 재산, 'SNS 꾐'에 다 잃었다
- 소상공인 500만 원 선지급 · 후정산…“줬다 뺏기 아니냐”
- 현행 거리두기 '2주 더'…백화점 · 마트에서도 '방역패스'
- 3월부터 청소년 패스…1월 24일까진 1차 맞아야 받는다
- 오미크론, 하루 새 269명 급증…“우세종 되면 1만 명대”
- “아름아 사랑해”…'대상' 남궁민, 작년도 올해도 달달한 사랑 고백
- '뉴스 보다가 깜짝'…오마이걸 승희, 이웃 돕기 성금 모금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