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 "헝다 '제한적 디폴트'로 분류..연쇄 디폴트도 우려"
신혜연 입력 2021. 12. 9. 23:28 수정 2021. 12. 10. 05:46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헝다를 '제한적 디폴트' 등급으로 강등했다.
9일 로이터 통신은 피치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헝다가 8250만 달러(약 976억원)의 채권 이자 지급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자사의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면서 "이런 경우 지급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헝다는 지난 6일까지 반드시 지급했어야 할 채권 이자를 내지 못하면서 실질적인 디폴트 상태에 빠진 상태였다. 다만 그간 헝다나 채권 보유인,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공식적으로 디폴트 선언을 하지 않았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헝다를 가장 먼저 '제한적 디폴트'로 분류함에 따라 이제 헝다의 디폴트가 공식화하게 됐다.
피치는 채권 발행자가 채무 불이행을 했지만, 파산 신청 같은 회수 절차가 개시되지 않고 해당 회사가 아직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을 '제한적 디폴트'로 정의하고 있다. 피치는 이번 헝다의 달러 채권 디폴트로 연쇄 디폴트가 발생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역외에서 발행된 헝다의 달러 채권 규모는 총 192억 달러(약 22조7천억원)가량이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국여성 35% 매춘"…'가짜사나이' 가브리엘, 황당 혐한 망언
- 영혼 갉아먹는 '검은 목소리'…엄마는 아이 앞 목숨 끊으려 했다
- 과거의 적진서 윤석열 돕는다…민주당 출신들의 이유있는 변심
- 선수 50명 쓰러뜨렸다…사이클 대회 아수라장 만든 女의 최후
- 성관계 영상 찍고 나이·이름 정리해둔 기독언론회장 아들
- 세월호 악몽 7년8개월…인천~제주 뱃길 연 710억 여객선 정체
- 7년전 '개콘'서 퇴출된 황현희, 요즘 전성기 10배 버는 비결
- [단독]문정인의 세종硏 22억 ‘종부세 폭탄’…“재정난” 존폐 위기
- 밤새 클럽서 춤춘 그 여자, 전날 확진자 접촉한 총리였다
- "참가비 내면 주는 상…권위 없다" 현직 화가, 솔비 대상 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