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진, 교회 더 공격받을라"..방역패스 '특혜'에 교인들도 발동동
종교시설이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형평성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를 두고 일부 교인들은 “교회에도 방역패스를 도입해달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8일 기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역대 최대치인 7000명을 돌파하면서 종교시설 발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인천의 한 교회에서 오미크론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종교시설을 향한 비난이 커진 것도 방역 강화 움직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교회만 특혜 준다는 시선 불편해. 편견 생길까 걱정”
교인들은 방역패스가 도입된다 하더라도 온라인 예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담이 낮다고 입을 모은다. 예배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방역패스를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인 장모(58)씨는 “방역패스가 적용되어도 미접종자는 유튜브 등을 통해 온라인 예배가 가능하다. 그동안 위드코로나 이전부터 온라인 예배로 진행해왔기 때문에 방역패스로 대면 예배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도 거부감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수본“교회 출입구 개방돼 관리 어려워 대상 제외”
교회는 집단 감염 사태를 피하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포구에 있는 한 교회 측은 "방역패스가 곧 교회에도 도입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번 주 예배가 고비"라며 "교인들에게 사모임 금지 공지를 재차 내렸다. 인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여론이 안 좋기 때문에 '제2의 인천 오미크론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소독 등 방역에 힘을 쓰고 있다"고 했다.
각 교회 운영진은 방역패스가 적용되면 대면 예배자 수가 줄어드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한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성탄절과 송구영신 예배 등 큰 행사를 앞두고 있는데, 대면·온라인 예배 나뉘게 되면 헌금 봉헌 등에 참여자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신평식 한국교회총연합 사무총장은 “오는 10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방역패스 적용 여부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후 중수본 등과 세부적으로 논의한 뒤에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도 교회는 예배에 미접종자가 포함될 경우 교회 전체인원의 50%만 참여하게 하는 등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어 방역패스보다는 세부적인 거리두기 지침을 조정하는 방안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수 기자 choi.yeonsu1@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실험쥐 되기 싫다" 백신 거부 근육남, 그가 남긴 슬픈 유언
- 성관계 영상 찍고 나이·이름 정리해둔 기독언론회장 아들
- 말기암 투병 윤성근 판사 위해…동료들이 만든 두 번의 기적
- "만취해 진상 부린다"…대학가 술집 '노 교수존' 반격 나섰다
- [단독] "한·미 종전선언 조율, 북한과 소통"…별도 채널 첫 인정
- [단독]윤석열, 제왕적 대통령제 바꿀 '권력 개혁위' 띄운다
- '1인 28만원' 호텔 중식당 예약 다 찼다…코로나 이런 특수
- 총동원 수사에도 ‘이윤’ 없었다…가족 의혹도 못밝힌 대선수사
- 번아웃 고백 김구라 "늦둥이 태어나 행복하지만, 힘들다"
- 김종인 “김병준과 알력 있었다면 국민의힘 안 왔다” 냉전설 일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