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오미크론 감염증세 경미하지만 안심 일러"

강창욱 2021. 12. 8.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의 위험성에 대한 각국 보건당국과 현장 의료진, 학계, 제약업계의 견해가 미묘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실제 감염자의 증세가 경미한 수준에 그쳤다는 보고가 잇따르고는 있지만 오미크론 출현 후 2주밖에 지나지 않은 만큼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판단이 주를 이룬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7일(현지시간) AFP통신 인터뷰에서 오미크론에 대해 “틀림없이 고도로 전염성이 강하다”며 “델타보다 더 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다만 “(중증도 면에서는) 거의 확실히 델타 변이보다 심각하지 않다”며 “(오미크론이 델타보다) 심지어 덜 심각할 수 있다는 기미도 있다”고 말했다. 오미크론이 빨리 퍼지기는 해도 심각한 질환이나 사망을 유발할 가능성은 델타보다 낮은 것으로 보인다는 얘기다.

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추적 중인 일부 환자군을 보면 감염자와 입원환자 비율이 델타보다 낮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남아공의학연구위원회 에이즈·결핵연구실 책임자 파리드 압둘라 박사는 이달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새로운 오미크론 발병에 관한 핵심 질문은 질병 중증도가 다른 변이와 유사한지, 더 경미하거나 더 심각한지 그 여부”라며 ‘중증도의 가장 좋은 지표’인 병원 내 사망률이 최근 감소했음에 주목했다.

그는 오미크론 출현 이후인 지난달 14~29일 사이 프리토리아주 스티브 비코츠와니 지역 병원단지에 입원한 환자 166명 중 사망자는 10명으로 6.6%에 그쳤다고 전했다. 그 중 1명은 코로나19와 무관한 아동이었다고 한다.

압둘라 실장은 “지난 18개월 동안 단지에서 사망한 비율이 17%인 것과 비교하면 호의적”이라며 “남아공 국립전염병연구소(NICD)가 발표한 전국 전체 입원 중 사망률 23%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2주간 코로나19 병원에 입원한 확진자의 평균 체류 기간이 2.8일로 짧아졌다는 점도 강조했다. 종전 18개월간 코로나19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8.5일이었다.

압둘라 실장은 “앞으로 2주간 추세는 명확해질 텐데, 질병의 중증도가 더 높아지고 사망자가 늘어나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지난 2주간의 사망률”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파우치 소장도 남아공 인구가 젊은 편이라 입원 확률이 더 낮다는 점을 들어 데이터에 대한 과잉해석을 경계했다. 증증 증세가 나타나려면 몇 주가 걸린다는 점도 상기시켰다.

그는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델타보다 강해도 증세는 약해 입원이나 사망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을 최선의 시나리오로 가정했다. 최악은 중증 유발 가능성까지 높아 백신으로도 막기 어려운 경우다. 파우치 소장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닥치리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확실히 알 수는 없다”고 말했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행사에서 “빨리 퍼지는 바이러스가 있다는 게 좋은 소식은 아니다”라며 “빠른 전염은 변이 바이러스가 수십억명 몸에 들어갈 수 있고 또 다른 변이가 더 나올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 역시 남아공에 경증환자가 많다는 최신 연구 결과만으로 오미크론의 위험성을 결론짓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에 취약한 60세 이상 연령대가 전체 인구의 5%에 불과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다른 백신 제조사 모더나의 랜들 하이어 글로벌 의학부문 부사장도 “아직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며 부스터샷(추가 접종)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전염병학자 에밀리 걸리 박사는 뉴욕타임스(NYT)에 “(오미크론의 경증 추세가) 사실이라고 해도 놀랍지 않지만 아직 그렇게 결론을 내릴지 확신하진 못하겠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