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선대위원장이 뭐길래" 함익병에 노재승까지..난감한 尹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가 공동 선대위원장들 때문에 연일 시끄럽다. 최근에는 5일 발탁된 노재승 공동 선대위원장이 입방아에 올랐다. 그가 과거 페이스북에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영상을 공유하며 “대한민국 성역화 1대장”이라고 적거나, 백범 김구 선생이 1896년 황해도의 한 주막에서 일본인 상인을 살해한 ‘치하포 사건’에 대해 “국밥 좀 늦게 나왔다고 사람 죽인 인간”이라는 댓글을 단 것이 논란이 됐다.
노 위원장이 6일 “발언과 행동에 신중하겠다”고 사과했지만, 논란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8일 노 위원장 영입 철회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가정적으로 말 드리기는 어렵고, (선대위가) 검토를 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철회 가능성을 열어 둔 발언이다.
노 위원장은 지난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비니를 쓰고 오세훈 후보를 지지하는 연설을 해 ‘비니좌’ (‘비니’와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는 뜻의 ‘본좌’란 단어의 합성어)로 불리며 유명세를 치렀다. 특히 20·30대 남성에게 어필할 인선으로 기대를 모았는데, 당 입장에선 뜻밖의 암초를 만난 셈이다.
앞서 당이 피부과 전문의 함익병 씨를 공동 선대위원장에 내정했다가 7시간 만에 철회한 것도 그의 과거 발언 때문이었다. “여자는 국방의 의무를 지지 않으니 4분의 3만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 “독재가 왜 잘못된 것인가, 더 잘 살 수 있으면 왕정도 상관없다” 는 발언이 논란이 됐다. 당 내에서는 “전문성 보다는 ‘깜짝 발탁’에 치중하다가 촘촘하지 못한 검증으로 논란을 자초했다”(국민의힘 지역구 초선 의원)는 지적이 나왔다.
공동 선대위원장은 직제상 총괄 선대위원장(김종인)과 상임 선대위원장(김병준·이준석) 바로 아래에 있는 고위직이다. 당내에서 김기현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5선의 조경태 의원이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았고, 당밖에선 노 위원장과 사할린 강제 이주 동포의 손녀인 스트류커바 디나 위원장 등이 영입됐다. 이중 외부 영입 위원장을 두고 당내에서는 “실권은 없는 자리”라는 평가가 나온다. 대선 캠프의 철학이나 방향성, 공략 포인트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자리라는 의미다.
과거 보수 진영의 대선 후보들도 외부 인사를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하곤 했지만, 지금보다는 전문성에 좀 더 무게를 뒀다는 평가다.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는 ‘4대 분야 전문가’라는 타이틀로 유종하 전 외무부장관(외교·안보), 박찬모 전 포항공대 총장(교육·과학기술), 배은희 바이오벤처기업 리젠 대표(미래 신산업), 김성이 이화여대 교수(복지)를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했다.
2012년 대선 때는 박근혜 후보가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을 공동 선대위원장에 영입했다. 당시 선대위에서 활동했던 야권 인사는 “실권이 있다고 보긴 힘들었지만, ‘최초 여성 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박 후보와 성공한 여성 CEO인 김 회장의 이미지가 맞아떨어져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2017년 대선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탄핵 여파로 외부 인사 영입에 난항을 겪었지만,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장을 지낸 박정이 예비역 육군 대장을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해 “적어도 색깔만은 분명하게 드러낸 인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최근 윤 후보 선대위에서 불거진 공동 선대위원장 잡음을 두고는 “전문성보다는 유명세를 겨냥한 ‘깜짝 발탁’만 신경쓰다가 탈이 났다”는 당내 지적이 많다. 익명을 원한 야권 중진 인사는 “노 위원장이나 함씨 모두 사전에 충분히 검증할 수 있었던 사안임에도 검증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당 일각에선 “대선 캠프가 소수의 전문가나 화려한 경력을 갖춘 이들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깨기 위해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선대위 관계자)는 반론도 있다. 권성동 당 사무총장은 이날 라디오에서 “노 위원장은 평범한 소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현안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밝혔던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원희룡 선대위 정책총괄본부장도 이날 “발언은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해당 글은 개인 신분일 때 작성한 것”이라며 “과거 발언이 문제라면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과거 발언은 왜 문제 삼아 사퇴시키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남동생이 임신한 19세 누나 참수할 때, 다리 붙들고 도운 엄마
- "엄마 앞에서 죽을거야!" ADHD 아들 말에 이지현 눈물 쏟았다
- "공산당이냐" "너나 맞아라" 생중계 댓글 폭탄 맞은 유은혜
- 거짓 암투병 최성봉 "텐프로 갔어도, 후원금 흥청망청 안썼다"
- 日 걸그룹 출신 리오나 "소녀시대처럼 되고 싶어 한국 왔어요"
- 돌연 사라졌던 '폭탄주 이모'…안타까운 근황이 공개됐다
- '비니좌' 노재승 "김구, 국밥 늦게 나와 사람 죽인 인간"
- "꼼꼼한 보스, 좀 피곤하네"…'디테일 윤' 불호령 내린 사연
- 조동연 성폭행범 수사, 공소시효 남았지만…쉽지 않은 이유
- 런던 한복판에 홍대포차? 영국인들 줄서서 소맥 말아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