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떨어지는 종전선언..베이징 보이콧 이어 美 의회까지 반대 서한
━
美 공화당 의원들 "종전선언, 한반도 안보만 위협"
미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 35명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의 진전이나 북한 주민에 대한 기본적인 인권 보장 없이 일방적으로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을 추진하는 건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내용의 서한을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에게 보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9월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서 남·북·미·중 종전선언을 제안한 뒤 미 의회에서 집단적인 반대 움직임이 나온 건 처음이다. 종전선언이 아무리 정치적 선언이라고 해도 의회의 반대에 부딪히면 미 행정부 차원의 추진 동력도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의원들은 서한에서 "종전선언으로 평화가 오는 대신 한반도 안보가 심각하게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평화를 담보하려면 양측이 이를 지키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은 핵 개발과 미사일 시험을 계속하면서, 평화와 관련한 회담 전 대북 제재부터 1순위로 풀어야 한다고 반복해서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적대행위 종식, 북핵ㆍ인권 문제 해결된 뒤 논의해야"
의원들은 이날 서한에서 "종전선언을 할 경우 주한미군에 위협이 된다"며 "설익은 평화협정을 근거로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와 한ㆍ미 연합훈련 영구 중단을 요구할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이어 북한이 과거 한국, 미국, 유엔과 맺은 합의를 계속 어긴 사실을 언급하며 "북한 정권이 평화 협정(peace agreement)의 조항을 지킬 것으로 볼만한 역사적 선례가 없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적대행위를 끝내자는 선언은 북한이 핵 무기를 없애고 인권 문제에 있어 입증 가능한 개선을 이룬 후에 북한과 장기간의 포괄적인 협상을 마치면서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종전선언은 결과로서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로, 종전선언을 촉매제로 북한과 대화를 시작하자는 한국 정부의 '종전선언 입구론'을 반박한 셈이다.
서한 작성을 주도한 한국계 영 김 공화당 하원의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김정은을 신뢰할 수 없다는 사실은 김정은 스스로가 거듭 증명했다"며 "우리는 믿을 수 없는 정권과 거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고 밝혔다.
美,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에 내부 신중론까지
현재 한ㆍ미는 종전선언과 관련한 막바지 문안 협의 단계로 실제 문안이 완성될 경우 이를 북한에 어떤 형식과 급에서 전달할지도 고심하고 있다. 다만 미국 측은 최근 들어 한국 정부가 사용하는 종전 '선언'(declaration)이라는 명칭 대신 종전 '성명'(statemen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종전선언을 하더라도 현 정전체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신중함을 이어가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다만 북한은 지난 9월 이태성 북한 외무성 부상의 조선중앙통신 담화를 통해 "종이 장에 불과한 종전선언"과 "아무런 법적 구속력도 없는 종전선언문을 들고 사진이나 찍으면서 의례행사를 벌려놓는 것"을 비판하며 법적 효력과 실질적 위상이 없는 종전선언에 대해 회의적 입장을 보였다.
━
외교부, 이례적 브리핑 자처..."오해 말아달라"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같은 날 "미 공화당 의원들의 서한과 관련해 다소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브리핑을 자처했다. 미 의회가 미 행정부 앞으로 보낸 서한에 대해 한국 외교부가 직접 나서서 국내 언론을 상대로 추가 설명을 하는 건 이례적이다.
이 당국자는 "정부가 특정 국가의 특정 움직임에 대해 공식적으로 말하는 건 외교 관례에 맞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비공식적으로는 우리 입장을 설명하는 게 적절하다고 본다"며 운을 뗐다. 그러면서 "서한에 (종전선언이) 역내 안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거나 주한미군 관련 내용이 있지만, 종전선언은 평화협정으로 가기 위한 초기 단계에서 추진하는 법적 구속력 없는 조치로 현 정전체제에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종전선언은 대화 재개와 비핵화 협상의 마중물로 활용하는 전술적 영역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미 의회에는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종전선언을 지지하는 법안도 발의돼 있다고도 강조했다. 미 의회 내에 종전선언 찬반 목소리가 공존한다는 설명이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남동생이 임신한 19세 누나 참수할 때, 다리 붙들고 도운 엄마
- "엄마 앞에서 죽을거야!" ADHD 아들 말에 이지현 눈물 쏟았다
- "공산당이냐" "너나 맞아라" 생중계 댓글 폭탄 맞은 유은혜
- 거짓 암투병 최성봉 "텐프로 갔어도, 후원금 흥청망청 안썼다"
- 日 걸그룹 출신 리오나 "소녀시대처럼 되고 싶어 한국 왔어요"
- 돌연 사라졌던 '폭탄주 이모'…안타까운 근황이 공개됐다
- '비니좌' 노재승 "김구, 국밥 늦게 나와 사람 죽인 인간"
- "꼼꼼한 보스, 좀 피곤하네"…'디테일 윤' 불호령 내린 사연
- 조동연 성폭행범 수사, 공소시효 남았지만…쉽지 않은 이유
- 런던 한복판에 홍대포차? 영국인들 줄서서 소맥 말아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