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내년도 예산 7조3968억원으로 확정

최동현 2021. 12. 3. 17: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도 예산이 7조396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통합문화이용권을 포함한 문화예술향유지원(2263억원) ▲전통문화 진흥(541억원) ▲공연예술진흥 기반 조성(486억원) ▲예술의 산업화 추진(345억원) ▲장애인 예술활동 지원을 위한 함께누리 사업(226억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1336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2771억원(12.5%)이 증가한 2조4975억원을 편성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도 예산이 7조396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올해 본예산 6조8637억원 대비 5331억원(7.8%) 증액된 규모다. 문체부 재정은 내년에 처음으로 7조원대에 진입하게 됐다.

문체부는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조속한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해 분야별 금융지원과 창작·경영지원 예산을 크게 늘렸다. 국민들의 일상 회복과 여가 활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관광과 생활체육 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 일상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치유 사업을 증액했다. 또 신(新)한류의 진흥과 문화·체육·관광 산업 미래시장 육성을 위한 사업을 확대해 세계를 선도하는 문화강국으로서 기반을 더욱 공고히 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서는 ▲통합문화이용권을 포함한 문화예술향유지원(2263억원) ▲전통문화 진흥(541억원) ▲공연예술진흥 기반 조성(486억원) ▲예술의 산업화 추진(345억원) ▲장애인 예술활동 지원을 위한 함께누리 사업(226억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1336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2771억원(12.5%)이 증가한 2조4975억원을 편성했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위풍당당 콘텐츠코리아펀드 출자(1388억원) ▲문화콘텐츠 국제협력 및 수출기반 조성(489억원) ▲영상콘텐츠산업 육성(714억원)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지원(168억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등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육성(461억원) ▲콘텐츠(문화) 분야 연구개발(R&D) 사업(571억원) 등 올해 예산 대비 1196억원(11.7%)이 증가한 1조1455억원을 편성했다.

체육 부문에서는 ▲스포츠산업 융자·펀드 등 금융지원(2083억원) ▲경륜·경정 융자지원(650억원) ▲ 스포츠산업 활성화 지원(666억원) ▲생활체육 프로그램(1329억원) ▲스포츠 강좌 이용권(519억원) ▲장애인 체육 육성(899억원) ▲스포츠산업 혁신기반 조성(137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1709억원(9.7%)이 증액된 1조9303억원을 편성했다.

관광 부문에서는 ▲관광산업 융자 지원(6590억원) ▲관광사업 창업 지원 및 벤처 육성(764억원) ▲관광산업 인재 발굴 및 전문역량 강화(200억원) ▲스마트 관광 활성화(490억원) ▲마이스(MICE) 산업 육성 지원(390억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502억원이 감액된 1조4496억원을 편성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내년도 문체부 예산은 국민 일상 회복을 준비하고 위기 속에서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산업의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리며, 대외적 성장이 국내에서도 균형 있는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면서 "내년 세출 예산의 70% 이상을 상반기에 배정하는 등 효율적 예산 집행을 통해 코로나19 극복과 경제활력 조기 회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