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형 한 달살이' 경남관광 홍보대사 역할 톡톡

이영재 2021. 12. 2. 1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형 한달살이'가 경남관광 홍보대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코로나19로 위축된 관광수요 속에서도 '경남형 한달살이'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심상철 도 관광진흥과장은 "경남형 한달살이에 참가한 한 분 한 분이 누리소통망서비스에 올려준 홍보 글이 경남관광 홍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단계적 일상회복을 대비해 사업을 보완해 내년에는 전 시군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인기몰이 여전, 내년부터는 도내 전 시군 시행


‘경남형 한달살이’가 경남관광 홍보대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코로나19로 위축된 관광수요 속에서도 ‘경남형 한달살이’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체류형 개별자유여행으로 변화하는 여행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경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경남형 한달살이’는 경남에서 최대 30일까지 장기간 체류하면서 경남 관광자원을 체험하고 개인 누리소통망서비스(SNS)을 통해 홍보하는 시책이다. 참가자에게는 팀 별(1~2명) 1일 최대 5만 원의 숙박비와 여행기간 내 1인당 최대 8만 원의 체험료가 지원된다.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5개 시군에서 시작해 올해는 진주·양산·의령을 제외한 15개 시·군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도내 18개 전 시군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경남형 한달살이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750여 명 참여해 1.6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연령대별 참가자는 만 39세 이하 청년층이 56.5%(422명), 50대 17.5%(131명) , 40대 14.1%(105명) 순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30.4%(227명), 경기 24%(179명), 부산 13.9%(104명), 대구 7.4% (55명) ,인천 5.5%(41명)로 수도권 지역(서울·경기·인천)이 전체 인원의 59.8%(447명)를 차지했다.

참가자별 체류기간으로는 3일 이상 7일 이하가 59.3%(443명), 8일 이상 15일 이하가 26%(194명), 16일 이상 29일 이하가 8%(60명), 30일이 6.7%(50명)로 나타났다.


도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수도권에서 과반수가 참여한 것은 도심을 벗어나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안심여행지에 대한 여행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층인 MZ세대를 중심으로 장기 체류형 여행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남해 한 달살이를 도전했던 20대 여성 참가자는 “유명관광지보다 볼락낚시, 갯벌 체험, 도자기 만들기 카페 탐방 등 체험을 해보는 쪽으로 일정을 짰다”며 “한 달살이하면 제주도라잖아요? 그런데 남해가 더 좋아요”라고 말하며 “남해가 왜 보물섬인지 알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심상철 도 관광진흥과장은 “경남형 한달살이에 참가한 한 분 한 분이 누리소통망서비스에 올려준 홍보 글이 경남관광 홍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단계적 일상회복을 대비해 사업을 보완해 내년에는 전 시군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