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지지층엔 '도덕성' 안먹히고, 尹지지층은 '도덕성' 중시했다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무엇일까. 중앙일보가 여론조사 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26~27일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지지 후보 결정시 가장 중요한 변수'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34.4%가 ‘국정수행 능력’을 선택해 1위였다. 정책·공약(19.7%)이 뒤를 이었다.
눈길을 끄는 건 3위에 오른 도덕성(15.5%)이다. 여야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대장동 개발 의혹,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처가 의혹 등을 놓고 도덕성 공방이 한창이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네거티브 공방이 더 과열돼 후보의 도덕성이 더 중요시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도덕성’ 꼽은 李 지지층 7.8% 그쳐
'지지 후보 결정시 고려 변수'는 연령·지역별, 지지 후보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이 후보 지지층에선 최대 고려 사항으로 국정수행 능력(52.6%)을 꼽았다. 이후 정책·공약(16.1%), 소통·화합 능력(10.0%) 순이었는데 도덕성이라는 응답은 7.8%에 그쳤다. 민주당 지지자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국정수행 능력(49.3%)에 응답이 몰리고 도덕성(8.4%) 응답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이 후보를 향한 도덕성 논란 공격이 이 후보 지지층에게는 웬만해선 잘 먹히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호남(10.9%), 강원·제주(6.6%)에서 도덕성 응답 비율이 낮았다. 모두 이 후보 지지율이 윤 후보보다 더 높았던 지역이다. 반면 야당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27.5%) 지역 응답자들은 최대 변수가 도덕성이라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50대(16.6%)와 60대 이상(21.3%)에서 평균보다 더 도덕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진보 성향 응답자(11.8%)보다는 보수(19.3%) 성향 응답자에서 도덕성을 선택한 비율이 더 높았다.
尹 지지층 응답 중 소속 정당(12.1%) 눈길
윤 후보 지지층은 이 후보 지지층과 달리 국정수행 능력(25.0%)에 이어 도덕성(19.4%)을 주요 변수로 꼽았다. 흥미로운 건 정책·공약(17.6%)에 이어 소속 정당(12.1%)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두 자릿수라는 점이었다. 국민의힘 인사는 “이 후보와 달리 윤 후보는 본인보다는 상대적으로 가족에게 도덕성 공격이 치중돼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정권 교체 여론이 강한 분위기에서 국민의힘 간판도 윤 후보에게 플러스가 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내년 대선에 투표하지 않겠다는 비 투표층 응답자들은 최대 변수로 도덕성(29.1%)을 선택해 눈길을 끌었다. 양강 대선 주자들의 도덕성 논란에 실망해 투표하지 않기로 마음먹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6~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유선 임의전화걸기(RDD, 비율 14.9%)와 무선(가상번호, 비율 85.1%)을 결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유ㆍ무선 평균 응답률은 13.8%며 2021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무현 빼곤 역전 없던 대선 D-100 민심…"이번엔 예측 어렵다"
- "네가 가슴 주물러서…" 추행 고소한 불법 카풀녀의 거짓말
- 중앙일보 - 네카라쿠배 성장의 비밀
- BTS "열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어, 그래미 받고싶다"
- 이재오 "김건희, 안 나오는 게 아니라 못 나오는 것"
- "집값 폭등·격무 시달려"…외신이 본 한국 '멍때리기'가 슬픈 이유
- 5시간 줄 서서 먹는다…LA 한인타운 발칵 뒤집은 'BTS 곱창'
- "할리우드인 줄"…결별 10년된 김혜수·유해진 뭉친 이유
- 장제원 '장순실' '차지철'에 발끈…진중권 "풉, 고소하세요"
- "오빠폰에 몰카" 與의원실 비서 여동생이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