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덮인 자작나무 보려면 영양군 죽파리로 가세요
[홍성식 기자]
▲ 왕버들이 만들어내는 청송 주산지의 신비한 겨울 풍경. |
ⓒ 경북매일 자료사진 |
본격적인 겨울의 문턱이라는 소설(小雪)이 지나고, 중부 지방엔 벌써 눈이 내렸다는 뉴스가 들려왔다. 며칠 전부터 부쩍 차가워진 날씨 탓에 옷장 깊숙이 넣어뒀던 두꺼운 모직 코트나 패딩점퍼를 꺼내 입고 출근과 등교를 서두르는 이들이 많아졌다.
흐르는 시간은 누구도 멈추거나 건너 뛸 수 없다. 그건 수만 년 이어져온 부정할 수 있는 당연명제다. 저 멀리 북쪽에서 불어오는 삭풍은 이제 곧 경상북도 일대에도 닥칠 것이고, 울긋불긋한 단풍이 떨어진 자리엔 하얀 눈이 쌓일 터.
2년 가까이 우리를 괴롭힌 '코로나19 사태'의 수난 속에서도 또 이렇게 한 계절이 가고, 다른 한 계절이 오고 있다. 거부할 수 없는 자연의 순리.
이달 초부터 이른바 '위드 코로나'가 시작됐지만,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최근 들어 바이러스 확진자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고, 중증 환자 역시 늘어간다는 소식은 그간 억눌렀던 여행 욕구를 발산하려는 사람들에게 실망감을 안기고 있다.
하지만, 추위와 두려움 때문에 달콤하고 맑은 바깥 공기를 거부하기엔 근사한 겨울 여행지가 지닌 매력이 너무 크다. 조심스럽게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조용히 다녀올 수 있는 곳은 없을까? 마음속으로 이런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을 위해 매력적인 풍광과 인문학적 향기가 곳곳에 숨겨진 경북의 여행지 몇 곳을 추천하고자 한다.
청송, 주산지를 돌아보고 김주영 문학의 향기 속으로
한때는 '경북의 오지'라고 불렸지만 이제는 교통 환경이 많이 좋아진 청송군은 무엇보다 주왕산으로 유명한 도시다. 차가운 겨울 하늘 아래서 청송의 자연 속을 산책하다보면 왜 그곳이 '산소 카페'라고 불리는지 실감하게 되다.
톡 쏘는 맛으로 유명한 달기약수로 끓인 삼계탕은 청송의 대표적인 먹을거리. 청아한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한적한 식당에서 삼계탕과 함께 매콤한 양념으로 버무린 닭 불고기까지 먹어보기를 권한다. '겨울의 낭만이 바로 이것이구나'라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취재를 위해 아름답다고 소문난 경북의 저수지를 여러 곳 돌아다녔다. 누군가 "그중 손꼽을 만한 저수지가 어딘가"라고 묻는다면 별다른 고민 없이 "주산지"라고 답할 수 있을 듯하다.
속세에서의 해탈과 번뇌하는 인간의 한계를 다룬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의 촬영지인 청송 주산지는 해마다 전국의 수많은 사진가들을 불러 모으는 매력적인 공간이다.
"조선 경종 원년(1721년)에 인위적으로 만든 농업용 저수지인데, 그 안에 자라고 있는 20여 그루의 왕버들이 신비롭고 아름다운 풍광을 만들어낸다"는 게 청송군의 설명.
▲ 청송 객주문학관. |
ⓒ 경북매일 자료사진 |
주산지를 돌아보고, 달기약수를 맛봤다면 조용한 찻집에서 1~2시간 쯤 김주영의 소설 속에 빠져보는 건 어떨지. 문학평론가 이경재는 <명작의 공간을 걷다>라는 책에서 김주영의 생애와 문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김주영은 1939년 경북 청송군 진보면에서 태어났다. 서라벌예술대학에서 공부한 후에는, 오랜 시간 안동에 있는 엽연초생산조합에서 일했다. 1976년 상경할 때까지 안동 지역의 문인들과 <안동문학>을 창간하기도 했다. 김주영이 창작한 방대한 문학세계는 도시 빈민들을 다룬 소설, 대하역사소설, 유년기 체험을 다룬 소설로 나눠볼 수 있다. 김주영 문학은 '소외된 국외인들인 배고픈 유년, 도시빈민 악동, 과부, 유랑인을 묘사'하거나 '의리 이데올로기를 내세움으로써 동양적 전통의 웅자(雄姿)한 남성문학의 전통'을 보여준다고 평가된다."
영양, 고요한 자작나무숲을 즐겼다면 조지훈 생가로
너무나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 그래서일까? 때로는 아무도 나를 모르고, 나 또한 애써 상대방에 관해 알 필요가 없는 곳에서 며칠 머무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 일상의 번잡함을 잊게 해줄 영양 죽파리의 자작나무숲. |
ⓒ 경북매일 자료사진 |
만약 그렇다면 달리는 차의 방향을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로 돌리면 된다. 거기에 뭐가 있냐고? 자작나무숲이 있다. 자작나무는 얇은 껍질이 종이처럼 하얗게 벗겨진다. 몇몇 연인들은 그 나무에 사랑의 메시지를 적기도 한다고.
영양 검마산 죽파리엔 인공적으로 심어 키운 거대한 자작나무숲이 있다. 2km에 이르는 산책로는 아직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이들이 더 많다. 조용하고 비밀스러운 여행지란 이야기다. 만약 추위 속에 오지를 헤매는 것이 또 다른 낭만이라고 느낄 수 있다면 죽파리 자작나무숲은 더없이 좋은 겨울 여행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숲의 입구까지만 차를 타고, 숲이 시작되는 곳에서부턴 걸어보는 게 죽파리를 즐기는 최적의 방법이라고 다녀온 사람들은 입을 모은다. 얼마 전까진 휴대전화도 터지지 않았다고 하니, '침묵의 숲'이라 불러도 무방할 듯. 번잡한 일상을 살아온 도시인들에겐 이 또한 선물처럼 느껴질 수 있다.
▲ 영양의 시인 조지훈 생가. |
ⓒ 경북매일 자료사진 |
1920년 영양에서 태어난 조지훈의 본명은 동탁(東卓). 유년 시절엔 한학을 익혔고, 중학교 과정은 독학했다고 한다. <문장(文章)>을 통해 등단한 그는 고전적 풍물을 소재로 한 우아하고 섬세한 시로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는 경기여고와 고려대에서 교편을 잡았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초대 소장이었다. 앞서 언급한 책에서 이경재는 조지훈을 이렇게 평가하고 있다.
"조지훈의 삶을 뒷받침한 것은 조선 500년을 이어온 선비정신이다. 조지훈의 고향은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곡. 이곳은 한양 조씨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마을이다. 그의 조상은 이상적인 도학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애쓰다 쓰러진 정암 조광조(1482~1519)다. 조지훈은 일제가 주도하는 신교육 대신 전통적인 유학을 주로 배우며 성장했다. 수백 년간 주곡 마을을 채워온 올곧은 선비정신 속에서 조지훈은 정신의 뼈와 살을 형성한 것이다."
의성, 아득한 시절 존재했던 조문국의 역사와 만나다
풍경과 문학이 행복하게 만나는 공간인 청송과 영양. 취향에 따라서는 시와 소설보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도 있을 터. 만약 그렇다면 의성군이 적합한 여행지가 돼줄 것이다.
의성은 희미한 기록과 기억으로 남은 조문국(召文國)이 있었던 곳이다. <두산백과>가 이 나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들려준다.
▲ 의성 금성산 고분군의 근사한 설경. |
ⓒ 경북매일 자료사진 |
자그마치 1900여 년 전에 존재했던 조그만 국가의 흔적을 되살려낸 곳이 의성 조문국박물관이다. 상설전시와 기획전시가 이뤄지는 박물관에선 신라와는 또 다른 예술성과 미적 감각을 지닌 조문국의 다양한 유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더. 지난해 여름 금성면 대리리, 학미리, 탑리리 일대에 흩어져 있는 수백 기의 고분을 보며 그 돌올한 풍경에 깜짝 놀랐다. 크기를 달리하며 솟아오른 고분이 만들어내는 이채로운 모습은 눈 쌓인 겨울에 더 아름다울 것 같았다. 그래서다. 겨울이 깊어지면 다시 한 번 찾고 싶은 여행지가 바로 의성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경북매일>에 게재된 것을 일부 보완한 것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