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모디슈머

서정민 2021. 11. 25. 00: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정민 중앙컬처&라이프스타일랩 차장

올해 2월 4일자 이 코너에서 소개한 신조어는 ‘얼막-막사’였다. 컵에 막걸리를 절반가량 붓고 큰 얼음조각을 띄우거나, 톡톡 튀는 탄산의 사이다를 섞는 ‘얼음+막걸리’ ‘막걸리+사이다’의 줄임말이다. 당시만 해도 전통주에 관심이 생긴 젊은층이 SNS에서 유행시킨 ‘사제’ 레시피였을 뿐인데, 며칠 전 서울장수와 GS리테일의 협업으로 제품이 정식 출시됐다. “2030세대 모디슈머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막걸리 2, 사이다 1 레시피에서 착안했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2020년 영화 '기생충'으로 한우 채끝살을 올린 짜파구리가 유명해지자 식당 '한육감'에서 영화 속 음식을 재현해 한정메뉴로 출시했다.

‘모디슈머’는 ‘modify(수정하다)’와 ‘consumer(소비자)’의 합성어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료를 혼합해 새롭게 제품 활용법을 창조하는 소비자를 뜻한다. 아마도 ‘모디슈머’가 가장 많은 분야는 라면업계가 아닐까. 구력 있는 자취생이라면 하나쯤 갖고 있는 ‘라면 만들기 비법’ 말이다. 영화 ‘기생충’ 덕분에 전 세계를 홀렸던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사진)’도 2009년 한 온라인 사이트에 올라온 개인 레시피가 유명해진 경우다.

업체들로선 MZ세대가 직접 만들고, 입소문까지 내주는 이런 좋은 아이템을 놓칠 이유가 없다. ‘모디슈머’를 앞세운 신제품이 줄을 잇는다. 농심은 지난달 11일 너구리 라면에 카레 조각을 넣는 PC방 레시피 제품 ‘카구리 큰사발면’을 출시, 한 달 만에 230만개를 팔았다. 오뚜기는 인기제품인 ‘열라면’과 ‘진짬뽕’을 조합한 ‘열라짬뽕’을 선보였다. 재밌는 이름도, 맛있는 레시피도 소비자가 직접 만드는 세상, 강호에는 정말 고수가 많다.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다.

서정민 중앙 컬처&라이프스타일랩 차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