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지금 이 순간 돈이 몰리는 곳_돈쓸신잡 #18

김초혜 2021. 11. 4. 11: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제 돈벼락은 '여기'에 친다.
unsplash

길고 어두운 터널에도 끝은 있다. 전 세계는 이 터널 끝자락에 와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70% 이상이 코로나 백신 접종을 마쳤다. 앞으로도 코로나라는 위협은 꽤 오랫동안 우리를 괴롭히겠지만, 어쨌든 세상은 ‘위드 코로나’ 시대를 준비 중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11월부터 ‘위드 코로나’ 태세로 전환했다. 코로나가 빼앗아간 일상이 우리에게 서서히 돌아온다는 뜻이다.

세상의 변화에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건 언제나 자본이다. 이미 글로벌 자본은 ‘위드 코로나’ 수혜 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어두운 터널에서 빠져나오면, 코로나 때문에 움츠렸던 산업들이 활짝 기지개를 켤 것이다. 이 중에서도 유독 주목받는 기업과 산업을 꼽아봤다.

「 에어비앤비 」
코로나에 직격탄을 맞은 산업은 많지만, 그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여행업이다. 여행사뿐만 아니라 호텔, 항공사까지 깊은 상처를 입었다. 숙박 플랫폼 기업 에어비앤비 역시 코로나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거라고 예상한 사람이 많았다. 그런데 묘한 일이 일어났다. 코로나가 정점에 달했던 지난 3분기 에어비앤비는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다른 여행업종들이 직격탄을 맞을 때, 에어비앤비만큼은 굳건하게 버텨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아무리 코로나가 무서워도 사람들은 여행이 주는 즐거움을 포기하지는 않았다. 해외여행은 못 가더라도 조심스럽게 국내 여행만큼은 부지런하게 다녔다. 코로나 기간에 결혼한 사람들을 보면 신혼여행으로 하와이는 못 가도 최소한 제주도, 강원도는 갔다. 이건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국경 안에서도 여행을 즐기는 법이다. 코로나 때문에 사람이 붐비는 관광지보다는 비교적 한적한 곳을 찾는 사람이 많았다. 그리고 이런 여행지 구석구석에 바로 에어비앤비 숙소가 있었다. 에어비앤비를 이용하는 사람들 절반 이상이 밀레니얼 세대라는 점도 이 기업의 장점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희소한 경험에 기꺼이 돈을 지불한다. 에어비앤비의 캐치프레이즈는 유명하다. ‘여행은 살아보는 거야’ 에어비앤비는 단순히 숙박만을 제공하는 기업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경험이자 여행의 일부가 됐다.

「 오프라인 매장의 부활 」
unsplash
미국에서는 워런 버핏처럼 막대한 자산을 굴리는 투자자는 포트폴리오를 일반인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그래서 이런 투자자들이 어떤 주식을 새로 사거나 팔 때마다 꽤 큰 뉴스로 다뤄진다. 예컨대, 버핏은 지난해 말 애플 주식 일부를 팔고 석유 기업 쉐브론의 주식을 샀다. 이 결정에 전 세계 투자계는 약간 의아해했다.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팔고, 성장이 더딘 기업의 주식을 샀으니까. 하지만 결과는 어떤가. 최근 코로나에 잔뜩 움츠렸던 글로벌 경제가 되살아나면서 유가가 급격하게 올랐다. 당연히 석유 기업에겐 호재다. 올해 들어 쉐브론 주가는 35% 이상 올랐다. 애플 주가 상승률을 압도하는 실적이다. 역시나 버핏이 옳았다.

그렇다면 또 다른 투자 대가 레이 달리오는 어떤 주식을 샀을까. 참고로, 레이 달리오는 세계 최대 규모 헤지펀드 운용사 브리지워터를 세운 투자자다. 브리지워터스 역시 버핏처럼 작년 말에 이미 코로나 이후의 시대를 준비하며 거기에 맞춰 투자했다. 최근 브리지워터는 월마트, 코카콜라, P&G, 펩시 주식을 꾸준히 사들이고 있다. 모두 소비재 종목들이다. 여기에 담긴 메시지는 하나다. 결국 경기는 회복된다. 사람들은 다시 집 바깥으로 나와서 대형마켓에서 카트를 끌고 쇼핑을 하며, 주말엔 가족들과 외식을 할 것이다. 버핏 역시 최근 몇 분기 내내 미국 슈퍼마켓 체인 기업 크로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투자 대가들은 오프라인의 부활에 베팅하는 중이다.

「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진화 」
만약 지금 코로나라는 위기가 완전히 걷혔다면, 단언컨대 “여기가 오징어게임의 나라인가요?”라며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으로 쏟아져 들어왔을 것이다. 누군가는 ‘국뽕’이라며 비하할 수도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한류 콘텐츠가 대세인 건 의견이 아니라 팩트다. 얼마 전 호러 소설의 대가 스티븐 킹마저 트위터에 〈오징어게임〉 감상평을 올렸을 정도니까. K팝은 어떤가. 국내 아이돌이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리는 건 더 이상 놀라운 일도 아니다. BTS뿐 아니라 블랙핑크, NCT 역시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리는 그룹이 됐다.

여행업과 마찬가지로 엔터테인먼트 기업 역시 코로나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대형 콘서트는 줄줄이 연기되거나 취소됐다. 하지만 우려와 다르게 엔터기업들은 코로나에도 꽤 잘 버텼다. 아니,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성장하기까지 했다. 위기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했기 때문이다. 오프라인 공연을 통한 수익이 불가능해지자 온라인 플랫폼을 강화했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극 받아들였고, 가상 세계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SM의 에스파는 처음부터 메타버스 시대를 대비해 기획된 그룹이다. 또한 엔터기업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흩어진 팬덤을 조직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코로나라는 위기를 ‘혁신’적으로 극복한 셈이다.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