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기저질환자·얀센 접종자, 11월부터 부스터 샷 접종 시작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2021. 10. 28. 14: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스터샷, mRNA 백신으로 진행.. 30세 이상은 얀센도 선택 가능
오늘(28일)부터 얀센접종자 부스터 샷 사전예약이 시작된다./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오는 11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50대, 기저질환자, 얀센 백신 접종자 등 총 205만명을 대상으로 부스터 샷(추가접종)이 시작된다. 당장 오늘(28일)부터 얀센접종자는 부스터 샷 예방접종일 사전 예약을 시행한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28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10월부터 추가접종을 시행 중인 1단계 고위험군에 이어, 2단계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50대 연령층 ▲18~49세 기저질환자 ▲얀센백신 접종자 ▲우선접종 직업군을 대상으로 11월 부스터 샷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얀센 접종자만 이달 28일부터 사전예약을 시작하고, 나머지 추가접종 대상자는 11월 1일부터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부스터 샷 예약시기별 예약가능 접종일/보건복지부 제공

◇돌파감염 높은 얀센, 부스터 샷 가장 먼저 접종

가장 먼저 부스터샷 접종을 하게 될 얀센백신 접종자다. 얀센백신은 다른 백신에 비해 돌파감염 비율이 높고, 접종자의 다수가 활동성이 큰 청장년층인 점을 고려해 2단계 고위험군 중 최우선 접종자로 선정됐다. 백신별 10만 명 당 돌파감염자 수를 보면, ▲얀센 266.5명 ▲AZ 99.1명 ▲화이자 48.2명 ▲모더나 4.6명 ▲교차접종 71.1명이었다. 부스터 샷 접종 대상자는 얀센 접종 완료 2개월이 지난 사람으로, 이들은 11월 8일부터 부스터 샷 접종이 가능하다.

얀센접종 완료자는 위탁의료기관에서 mRNA 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다. 다만, 30세 이상 연령층 중 본인이 희망하는 자는 얀센 백신으로 추가접종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건소에 유선으로 연락하여 확인 후 접종받을 수 있다.

사전예약은 오늘(28일) 20시부터, 접종은 11월 8일부터 시작되지만, 잔여백신으로 접종할 경우 11월 1일부터 추가접종도 가능하다.

◇50대, 접종완료 6개월 지나야 부스터 샷 접종 가능

50대는 높은 치명률 등 위험도를 고려해 접종완료 후 6개월 경과자를 대상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연령별 누적 치명률을 보면, 20대 0.02%, 30대 0.04%, 40대 0.07%에 비해 50대는 0.31% 수준이다. 누적 중증화율을 봐도 20대 0.21%, 30대 0.64%, 40대 1.29%이지만, 50대는 2.58%다.

50대 부스터 샷 사전예약은 11월 1일, 접종은 11월 15일부터 실시한다. 28일 0시 기준 50대 접종완료자 약 791만 명 중 4분기 접종 대상은 약 32만 명이다.

◇당뇨·고혈압·신부전·B형 간염환자 등 15일부터 부스터 샷

기저질환자는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 우선적으로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보건당국은 부스터 샷이 필요한 기저질환자를 별도로 구분했다. 부스터 샷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기저질환자는 ▲내분비 장애(당뇨, 뇌하수체기능이상, 부신질환) ▲심혈관 질환(심부전, 심근염, 심근경색, 만성류마티스성심장질환,

판막질환, 고혈압) ▲만성 신장 질환(만성신부전, 사구체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폐기종,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확장증, 천식, 진폐증, 기타간질성폐질환) ▲신경계 질환(파킨슨병, 치매, 뇌성마비, 다계통위축증, 척수손상, 간질, 중추신경계탈수초질환) ▲소화기 질환(간경변, 만성B형간염, 낭포성섬유증)자다.

위의 기저질환이 있는 이들 외에도 의사 판단 하에 추가접종이 권고되는 경우, 11월 1일부터 사전예약을, 11월 15일부터 접종을 실시한다.

◇돌봄 종사자·약사 등도 우선 접종

우선접종 직업군은 업무 특성상 감염·전파 위험이 높아 상반기에 우선접종을 실시한 대상으로, 접종완료 후 6개월 경과자는 11월 1일부터 사전예약을 통해 11월 15일부터 접종 받을 수 있다. 우선접종 직업군은 1차 대응 요원, 보건의료인(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종사자), 돌봄 종사자,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 및 어린이집 간호인력, 사회필수인력(경찰, 소방, 군인 등)이다.

추진단은 "부스터 샷 접종백신은 기본적으로 mRNA 백신을 활용하며, 가급적 동일백신으로, 백신 종류가 2종을 초과하지 않도록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예외적으로, mRNA 백신 금기 또는 연기 대상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의사 판단 하에 피접종자에게 적합한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며, 얀센백신 기본접종자 중 희망자는 얀센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접종용량의 경우, 모더나 백신을 활용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용량의 절반(0.25㎖, 항원량 50㎍)으로 시행하며, 그 외 백신은 기본접종과 동일한 용량으로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접종간격은 원칙적으로 기본접종 완료 6개월이 지난 후부터, 가급적 8개월 이내에 추가접종을 시행한다. 단, 면역저하자는 기본접종으로 면역형성이 불완전하고, 얀센백신 접종자는 돌파감염 발생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해, 기본접종 완료 2개월 이후부터 추가접종을 권고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