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외무성 작성 '안중근 의거' 보니.. 고종이 특사 보냈다

김남중 2021. 10. 25. 15: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는 중국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했다.

이토 저격 사건 대책본부를 맡은 일본 외무성은 1912년 4월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혐의자 및 연루자 색출, 재판 절차 지원, 변호인단 동향 파악, 각국 반응 분석 등을 위해 1778건의 문서를 생산했다.

안중근 구제회는 안 의사 신병이 일본 법정으로 넘어가자 국제변호인단 구성, 안중근 가족 생계 지원 등을 위해 조직된 단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도쿄 외교사료관에 있는 1700여건 자료 소개
1910년 2월 22일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 오토리 후지타로가 외무대신 고무라 주타로에게 보고한, 고종의 밀사 두 사람이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후의 활동을 정탐하여 보고한 문건. 태학사 제공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는 중국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총살했다. 이토 저격 사건 대책본부를 맡은 일본 외무성은 1912년 4월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혐의자 및 연루자 색출, 재판 절차 지원, 변호인단 동향 파악, 각국 반응 분석 등을 위해 1778건의 문서를 생산했다. 이 자료가 외무성 산하 외교사료관에 보관돼 있는 ‘이토공작만주시찰일건(伊藤公爵滿洲視察一件)’이다.

이태진(78)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가 원장을 맡고 있는 한국역사연구원이 전체 11권 분량의 이 자료들을 수록한 ‘그들이 기록한 안중근 하얼빈 의거’(태학사)를 출간했다. 책에는 ‘이토공작만주시찰일건’ 각 권의 기본 정보와 이 자료를 생성한 기관을 정리한 ‘자료집의 구성’, 주요 자료 24건에 대한 원문·번역문·해설, ‘자료 총목록’ 등이 수록됐다. 또 원본 자료 전체를 사진 파일로 담은 DVD가 포함됐다.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 원장은 2009년부터 도쿄 외교사료관을 방문해 자료를 보고 복사하고 해독해왔다. 이 원장은 “‘이토공작만주시찰일건’은 하얼빈 의거에 대한 가장 일차적인 자료이자 결정적인 자료”라며 “이 자료를 활용해서 안중근 연구가 보다 본격적으로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자료 24건 중 ‘한황(韓皇)의 밀사 송(宋) 모에 관한 건’은 고종이 안 의사를 지원하기 위해 밀사를 파견했음을 보여준다. 연해주에서 조직된 안중근 구제회 동향에 대한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의 1910년 2월 22일 보고로 “27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송선춘 조병한 두 사람은 옥중의 안중근을 구출하기 위해 태황제폐하의 친서를 가지고 왔다고 합니다”란 내용이 있다.

안중근 구제회는 안 의사 신병이 일본 법정으로 넘어가자 국제변호인단 구성, 안중근 가족 생계 지원 등을 위해 조직된 단체다. 보고 문건에는 안중근 구제회가 특사들을 보고 처음에는 의심했지만 곧 황제가 보낸 사람인 것을 확인하고 서로 협의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1909년 12월 하얼빈 총영사가 외무대신에게 보낸 보고에는 ‘우에하라 육군소좌가 다년간 사용한 통역 한국인 최상운(崔尙雲)’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온 한국인 김태원(金泰元)’을 밀정으로 사용하여 정탐하고 있음다는 내용이 나온다. 또 “이 방법을 계속하는 것 외에는 없다고 사료되므로 앞으로는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여 보냄과 동시에 장려하는 뜻으로 수시로 상당한 보수를 주어 극력 정보 수집에 힘쓸 생각”이라는 내용이 들어있다. 이 자료가 중요한 이유는 한국인 밀정을 고용한 일본의 감시와 탄압이 이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안 의사의 마지막 모습에 대한 기록도 있다. “안중근은 지난밤 고향에서 보내온 명주 조선복을 입고 성화(聖畫)를 품고 있었는데, 그 태도, 얼굴색, 말씨 등이 평상시와 조금의 차이도 없이, 조용하고 침착하고 깨끗하게 죽음으로 나아갔다.”

1910년 3월 16일 오전 10시 사형 집행에 임한 안 의사의 모습을 담은 ‘살인범 안중근의 최후’라는 이 문건은 그동안 통역을 담당한 경찰 소노키 스에키의 기록이다. 안 의사는 성화를 주머니에 넣은 채 사형장에 들어갔고, 사형 집행 시 이 성화를 꺼내 들고 있었다고 한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