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산유국 사우디, 2060년 탄소중립 달성 계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가 오는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23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실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이날 열린 '사우디 녹색 계획'(SGI) 행사에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동참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압둘아지즈 장관은 사우디의 탄소중립이 조기에 달성될 수 있지만, 확실한 시점을 2060년으로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가 오는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23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실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이날 열린 '사우디 녹색 계획'(SGI) 행사에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동참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영상 연설을 통해 "국제 원유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2060년까지 사우디 내 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30% 줄이고, 내륙에 위치한 수도 리야드를 지속가능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나무 4억5000만 그루를 심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 중 원유 수출량이 제일 많은 사우디의 탄소 배출 제로화 선언은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발표됐다.
사우디의 탄소중립 목표년도는 중국과 러시아의 2060년과 같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하고 있다.
사우디는 매년 탄소 배출량 2억7800만t을 줄이기 위해 1866억달러(약 219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압둘아지즈 빈살만 에너지 장관은 "탄화수소(석유·천연가스), 화석연료(석탄 등), 재생에너지 중 어느 한 가지가 유일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면서 "탄소중립은 종합적이며 포괄적인 정책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압둘아지즈 장관은 사우디의 탄소중립이 조기에 달성될 수 있지만, 확실한 시점을 2060년으로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달 초 주요 산유국 중 하나인 아랍에미리트(UAE)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안 먹어요 석열씨"…尹 체포에 '구치소 선배' 조국 밈 등장 - 아시아경제
- "저 중국인 아닙니다"…한국 올 때 '이 스티커' 꼭 붙인다는 대만인들 - 아시아경제
- 직원들에 나눠준 복권 12억 당첨되자 "가져와, 다 같이 나누자" - 아시아경제
- "내 노래가 이렇게 개사되다니"…尹 헌정곡 합창에 원곡자도 '당혹' - 아시아경제
- "아침밥 안 해주는 여자 바람 필 듯"…기안84 발언에 때아닌 설전 - 아시아경제
- "홍상수·김민희 커플 임신…올 봄 출산 예정" - 아시아경제
- "아이 치아 부러졌으니 부모가 3000만원 줘야"…재판부 판단은? - 아시아경제
- "아이만 탔다면 옆좌석 남자 안돼"…이유 물으니 "성범죄 98% 남자여서" - 아시아경제
- "뭔죄가 있다고 잡혀가나"…배우 최준용 부부, 尹 체포에 오열 - 아시아경제
- "안내견은 위험해서 안됩니다" 다이소 매장에서 시각장애인 앵커가 당한 차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