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포용성 올리고, 中 공세적 태도 버려야"..동아시아현인원탁회의 공개회의
한·미·일·중 4개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미·중 패권 경쟁과 동아시아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서울대 국제학연구소는 22일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에서 ‘동아시아 현인 원탁회의’ 공개 회의를 갖고 미·중 패권경쟁과 동아시아의 미래를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위험한 각축으로부터 경쟁적 공존으로: 미·중 충돌을 막는 길’이라는 제목의 해당 보고서 작성에는 미국 애틀랜틱 카운슬, 일본 나카소네 평화연구소, 중국 칭화대 국제안보전략센터 등 각국 싱크탱크가 함께 참여했다. 김성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번 공개 회의의 사회를 맡았다.
"쿼드·오커스, 대중 견제용 벗어나야"
문 이사장은 특히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반중 블록화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쿼드(Quad)와 오커스(AUKUS)는 '개방되고 자유로운 인도·태평양을 추구한다고 하지만, 연합체를 구성한 목표가 중국 견제라는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면서다. 문 이사장은 그러면서 “미국은 보다 포용적 측면에서 중국과의 관계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구하면서도 역내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선 군사적 목적이 아닌 집단 안보 시스템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문 이사장과 함께 박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오미연 애틀랜틱 카운슬 선임 연구위원, 배리 페이블 애틀랜틱 카운슬 스코우크래프트 국제안보센터 소장, 후지사키 이치로 나카소네 평화연구소 이사장, 다웨이 중국 칭화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미·중 '경쟁적 공존' 가능할까
이에 대해 다웨이 교수는 “미국 측에서 중국의 정책을 그렇게 생각한다면 중국 역시 미국에 같은 요구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향해 이런 요구를 하면 접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된다”며 “보다 침착하고 냉정하게 미·중 양국이 대화를 나눠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공감대를 넓혀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시아 현인 원탁회의가 이날 공개한 보고서 역시 현재의 미·중 관계를 “글로벌 패권 경쟁이라기보단 아직은 지역적 패권 경쟁의 양상”로 보고 “미·중 경쟁 체제를 신냉전 돌입으로 보기엔 (미국은) 중국과의 상호 의존이 높고, 중국은 국제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 역시 중국과의 관계 단절을 원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면서 “미·중 양국은 이슈에 따라 경쟁과 협력, 대결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일 것”이라며 “미·중 관계 역시 ‘경쟁적 공존’의 형태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승민 딸이 "이준석 남자로 어떠냐"란 질문에 한 말
- '#나랜데예' 무슨 뜻이길래..尹, 전라도 비하 논란
- 탕! 촬영중 소품 총 쐈는데..촬영감독 맞아 사망
- 中 "70년대 우리보다 못해" 누리호 깎아내리는 속내
- 의사 "골프 끊어요"..10년 골프친 내게 찾아온 이 병
- 백종원 '연돈 볼카츠'에 싸늘.."뒷다리살 값 뛰겠네"
- 윤석열 '개 사과' 파문..김재원도 한숨쉬며 "아이고"
- "세종이 고기 덕후에 당뇨? 그를 진짜 괴롭힌 병은"
- 전두환 동생 전경환 사망.."박정희 피격 보고 인물"
- "文 뒷배경 허전하자, 누리호 과학자들 병풍 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