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는 왜 경상도 사투리를 썼을까'..윤석열 사과 SNS 논란이 석연치 않은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 캠프가 21일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개에게 사과를 건네주는 사진을 올렸다 삭제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정치권에 '일파만파'가 일고 있다.
윤 전 총장이 전날 전두환 전 대통령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에 대한 사과를 한 것이 진정성이 있냐는 논란은 물론, 사과를 요구한 국민을 업신여긴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역감정 자극 가능성
실무진의 가벼운 생각?..'사진을 찍은 건 누구?'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 캠프가 21일 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개에게 사과를 건네주는 사진을 올렸다 삭제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정치권에 ‘일파만파’가 일고 있다. 윤 전 총장이 전날 전두환 전 대통령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에 대한 사과를 한 것이 진정성이 있냐는 논란은 물론, 사과를 요구한 국민을 업신여긴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당초 이 논란은 윤 전 총장이 지난 19일 부산 해운대갑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사무실을 방문해 전 전 대통령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으로 시작됐다. 윤 전 총장은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항쟁만 빼면 잘못한 부분이 있지만, 정치 잘했다는 분도 많다"고 언급했다. 그는 전 전 대통령이 고(故) 김재익 전 경제수석 등에 경제 등 전권을 맡긴 것 등은 배울만하다는 점을 언급한 것이라는 설명을 내놨지만, 무고한 시민을 학살한 전 전 대통령을 옹호한 것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 문제와 관련해 윤 전 총장은 일부 표현을 문제 삼은 것으로 전체 발언을 들어보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폈다. 국민의힘 대선주자 방송토론회 등에서도 사과 요구가 이어졌지만, 윤 전 총장은 "곡해해선 안 된다"며 사과를 한사코 거부했다.
하지만 여론의 반발이 커지자 결국 공약 발표 현장에서 ‘유감’을 표명했다. ‘유감’ 표명에도 여론이 사그라지지 않자 윤 전 총장은 SNS를 통해 재차 "송구하다"며 사과 수위를 높인 바 있다. 전반적인 사과 모양새가 ‘마지못해 사과한다’는 인상을 준 상황에서, 돌잡이 당시 사과를 움켜쥔 윤 전 총장이 사진이 올라와 진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더욱이 윤 전 총장이 대중적 친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애견을 주인공으로 만든 SNS에서, 사과를 애견에게 주는 사진도 등장했다. 해당 SNS를 접한 이들로서는 ‘사과를 요구한 국민이 어떻게 보는 것이냐’는 불만이 제기됐다.
하지만 이 사안은 사진이 가진 이미지의 폭발성 외에도 지역감정을 조장하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이 SNS에 담긴 해시태그에는 ‘#우리집괭이들은_인도사과안묵어예’라는 경상도 사투리가 담겨 있다.
서울 태생의 윤 전 총장으로서는 경상도 사투리를 써야 할 이유가 없다. 이 때문에 전 전 대통령과 관련해 지역감정을 자극하려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윤 전 총장은 당초 문제의 발언 뒤 대구·경북지역 방송토론회에서 사과를 한사코 거부를 한 바 있다.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민들의 정서에 호소한 뒤, 마지못해 다음날에 가서야 사과하는 모양새를 취한 것이다.
또 하나 의아한 점은 이 사진은 언제, 어떤 경위로 촬영됐느냐 하는 것이다. 윤 전 총장 측은 "토리 인스타 계정은 평소 의인화해서 반어적으로 표현하는 소통수단으로 활용했다"면서 "실무자가 가볍게 생각해 사진을 게재했다가 실수를 인정하고 바로 내렸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란이 된 개가 윤 전 총장 자택에 있는 윤 전 총장의 애견인 점을 고려할 때, 이 사진이 어떻게 찍혔는지는 ‘단순 실수’인지를 가늠하는 주요요인이다. 언제, 누가 이 사진을 찍었느냐 등도 이 메시지가 ‘실수였는지를 ’가늠하는 주요 고려사항인 셈이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 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부진한 실적에 직원들 급여 25억 깎고선…'수십억 연봉' 챙긴 강성희 회장[기로의상장사]오텍② -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
- 30년 절대강자 냉동만두 제쳤다…싼데 골라먹는 재미, 편의점 1등 찍은 '이 간편식' - 아시아경제
- 식당서 현금 426만원 든 가방 도둑맞은 여성의 정체…알고 보니 美 국토안보부 장관 - 아시아경제
- '서른에 2조원 벌었다'…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최연소 억만장자女 - 아시아경제
- 강남서 테슬라 트럭·BMW에 발길질…잡고 보니 중국 관광객 - 아시아경제
- 훈육한다며 11세 아들 때려 숨지게 한 40대…징역 10년 구형 - 아시아경제
- 가장 비밀스럽고 외로운 소년…푸틴 '10세 아들' 추정 사진 공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