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애송시] 이생진 시인 '벌레 먹은 나뭇잎'

방관식 2021. 10. 21. 16: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외로움과 슬픔을 읊조리는 대표시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생진 시인이지만 '벌레 먹은 나뭇잎'에서는 청춘의 감성을 노래한다.

오늘날까지 줄곧 좋은 시로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어 온 노 시인의 검버섯이 핀 얼굴과 벌레에게 모든 것을 내어준 나뭇잎은 어쩌면 같은 길을 걸어왔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음의 양식이 돼 세상을 아름답게 만든 시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방관식 기자]

 
 세월의 무게가 내려앉은 이생진 시인의 얼굴. 벌레에게 모든 것을 내어준 나뭇잎과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 방관식
 
한평생을 시와 함께 살아온 노 시인은 "좋은 시를 쓰기 위해서는 넓은 시야가 중요하고, 넓은 시야를 갖기 위해서는 여러 사람과의 소통과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다"고 했다.

20일 만난 섬을 노래하는 시인으로 유명한 이생진(93) 시인은 과거 교사로 근무하던 시절 방학이면 배낭을 메고 전국의 섬을 찾아다니며 시를 썼던 옛 추억을 떠올리는 듯했다.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로 50여년 가까이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이생진 시인의 고향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제주도가 아니라 충남 서산이다.  

어렸을 적 고향 서산에서의 인상 깊었던 바다와의 날카로운 만남은 이 시인을 섬과 바다로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이 됐다고 한다.
 
 90을 넘긴 나이지만 시를 쓰는데 있어서는 이생진 시인은 아직도 청년이다.
ⓒ 방관식
 
현대문학 등단 후 '바다에 오는 이유', '그리운 바다 성산포', '내 울음은 울음이 아니다', 먼 섬에 가고 싶다', '외로운 사람이 등대를 찾는다' 등 40여 권이 넘는 시집에 실린 주옥같은 2천여점의 작품 중 이 시인은 '벌레 먹은 나뭇잎'을 애송시로 뽑았다.

외로움과 슬픔을 읊조리는 대표시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생진 시인이지만 '벌레 먹은 나뭇잎'에서는 청춘의 감성을 노래한다.

절친한 후배인 박만진 시인은 "벌레 먹은 나뭇잎이 예쁘다니 이 얼마나 아이러니한가. 그래 남을 위해 베푸는 삶의 흔적은 별처럼 아름답다. 벌레 먹은 나뭇잎을 보며 벌레가 살아가도록 자기를 내어주는 것이라 생각한 시인의 시상(詩想)이 놀랍기 그지없다"고 감탄했다. 

오늘날까지 줄곧 좋은 시로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어 온 노 시인의 검버섯이 핀 얼굴과 벌레에게 모든 것을 내어준 나뭇잎은 어쩌면 같은 길을 걸어왔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벌레 먹은 나뭇잎

나뭇잎은 
벌레 먹어서 예쁘다
귀족의 손처럼 상처 하나 없이 매끈한 것은
어쩐지 베풀 줄 모르는 손 같아서 밉다
떡갈나무 잎에 벌레 구멍이 뚫려서
그 구멍으로 하늘이 보이는 것은 예쁘다
상처가 나서 예쁘다는 것은 잘못인 줄 안다
그러나 남을 먹여가며 살았다는 흔적은
별처럼 아름답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청뉴스라인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