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스토킹처벌법 시행..반복 범행 시 3년 이하 징역
반복적으로 스토킹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는 ‘스토킹처벌법’이 21일부터 시행된다. 흉기 등을 휴대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까지 처벌할 수 있다.
스토킹처벌법에 따른 처벌의 핵심 요건은 ‘지속성’과 ‘반복성’이다.
스토킹 행위는 상대 의사에 반해 정당한 이유 없이 상대 또는 그의 가족, 동거인을 대상으로 접근하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주거지나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등을 지칭한다.
또한 피해자 측이 원하지 않는데도 우편·전화 등을 이용해 글·그림·영상 등을 보내는 행위, 직접 또는 제삼자를 통해 물건 등을 주거지나 부근에 놓는 행위, 주거지나 부근에 놓인 물건 등을 훼손하는 행위를 해 불안과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 등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뤄졌다면 스토킹 행위에 해당한다.
이런 행위를 지속 또는 반복하면 스토킹 범죄로 간주한다.
경찰은 스토킹 행위 신고가 접수되면 현장에서 응급조치하고 재발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긴급응급조치와 잠정조치를 할 수 있다.
응급조치는 스토킹 행위를 제지하고 경고하며, 수사하는 것과 동시에 피해자를 보호 시설로 인도하는 절차다.
긴급응급조치는 주거지 100m 내 접근금지와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금지를 명령할 수 있는 단계다. 이를 위반하면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 잠정조치는 긴급응급조치에 더해 유치장 또는 구치소 유치가 가능한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접근금지 조치를 위반하면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다만 시민단체 등에서는 해당 법이 직접적인 피해자만 보호하게 돼 있고 가족과 동거인 등은 배제돼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법 적용 대상이 연인뿐만 아니라 사이버 괴롭힘, 이웃 간 분쟁, 학부모와 교사 등 업무적 관계, 불법 채권추심 등 채권·채무 관계, 서비스 불만에 따른 앙심 등으로 광범위해 시행 초기 혼란이 우려되는 측면도 있다
경찰 관계자는 “스토킹을 초기 단계에 억제해 심각한 범죄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김선호 쩔쩔매는 이유..前연인 정체 드러나면 타격"
- 실전 잠수함서 SLBM 쐈다 "北, 핵 장착땐 게임체인저"
- 코로나 음성 확인도 안한다..활짝 문 연 나라 어디
- "유방암 확률 87%" 졸리가 한국인이면 불가능한 일
- "명품 왜 백화점에서 사?"..김혜수 내세운 1조 전쟁
- "11층까지 가린다"..'백현동 옹벽 아파트' 무슨일
- 여성 옷 생리혈 본 순간, 벌떡 일어난 버스기사 행동
- 이기면 어떤 의혹도 무마됐다, 李·尹 사생결단 대선
- 트럼프 만든 남자, 그 등에 칼 꽂았다..극우 배넌 배신
- "유재석 오란다꼬?" 빵식이 아재, 약 삼키고 달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