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직원들 아이디어..식품업체 돌파구 '사내벤처'

임혜선 2021. 10. 20. 13: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 '이노백' 120팀 참여
본업 멈추고 아이디어 구체화
최종 통화하면 상금 등 보상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 식품기업들이 사내벤처를 통해 신성장동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전통적인 사업 방식으로는 성장하기 어렵다고 판단, 직원들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사업화함으로써 ‘혁신적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미래준비를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CJ제일제당, 사내벤처로 신사업

20일 CJ제일제당은 식품사업 부문 사내벤처 프로그램인 이노백(INNO 100)을 통해 선정된 ‘푸드 업사이클링’과 ‘식물성 대체유’를 신사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내벤처 사업화 1호인 ‘푸드 업사이클링’은 깨진 쌀, 콩비지 등 종전 버리던 식품 부산물을 활용해 가공식품 등을 만드는 사업이다. 식품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지속가능한 ESG 경영’ 개념을 적용했다. 패키징 역시 쓰고 버린 페트병을 재활용했다. ‘식물성 대체유’는 현미, 콩 등 식물성 재료로 만든 우유 대체 식품이다.

‘혁신에 몰입하는 100일’이라는 의미의 이노백은 68년 전통의 CJ제일제당이 스타트업처럼 움직이며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자는 취지로 올 2월 도입했다. 프로그램에 지원한 직원들은 기존 업무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100일간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에만 몰입한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인 입사 3~4년 차 직원들의 큰 관심과 호응 속에서 3기까지 총 120팀이 참여했고 현재 4기를 공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아이디어 제출, 제안 프레젠테이션, 100일간 프로젝트 추진, 최종 프레젠테이션, 사업 실행전략 수립, 사업화승인 순으로 진행된다. 최종 프레젠테이션을 통과한 팀은 상금과 사업화 초기 투자를 지원받는 등 보상 및 지원 제도가 마련돼 있다.

사업성 있다면 기업 분할도

사업화는 혁신성장 관련 의사결정그룹인 ‘이노베이션 위원회’가 결정한다. 이노베이션 위원회는 대표이사를 포함한 주요 경영진과 사원 중심의 협의체인 ‘열린협의회’로 구성됐다. 시장 트렌드에 맞는 사업 적합성, 성장성과 매력도, 사업실행을 위한 기업가 정신과 팀 역량, 혁신성 및 기술 파급력 등이 주요 평가항목이다. 사업화를 결정하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정하고 양산화 검증에 착수하며 나아가 사내 독립조직(CIC)과 기업분할까지도 가능하다.

푸드 업사이클링과 식물성 대체유 사업 모두 사내 독립조직으로 운영이 확정됐다. 선배 사원 등을 사내외에서 영입해 사업 운영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 푸드 업사이클링 사업은 부산물 처리 및 양산화를 위한 설비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올해 말 크라우드 펀딩 등을 통해 먼저 소비자를 만난 뒤 내년에 제품을 공식 론칭할 계획이다.

농심·롯데칠성도 사내벤처로 신사업

농심은 사내벤처를 통해 17일 먹는 화장품이라 불리는 ‘라이필 더마 콜라겐’을 출시한 데 이어 건조식품 브랜드 ‘심플레이트’를 개발 완료했다. 라이필 더마 콜라겐은 지난해 3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시장에 안착했다. 심플레이트는 고기, 야채 등의 식재료를 건조 공법을 사용해 상온에서 장기 보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원재료를 그대로 건조해 맛과 품질을 유지했다. 물에 10분가량 불리면 본래의 형태와 식감이 복원돼 국, 카레, 볶음요리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심플레이트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에서 지난 6월 1차 펀딩 목표액을 20분 만에 달성했고 2차 펀딩도 흥행에 성공했다.

롯데칠성음료도 2018년부터 사내벤처 프로그램 ‘칠성캠프’를 통해 창업을 지원한다. 올해는 3기 멤버 ‘워커스하이’를 독립법인으로 분사시켰다. 워커스하이는 사무실 환경에 맞는 맞춤형 자판기를 통해 식품 및 소비재를 판매하는 ‘오피스 미니바’를 개발했다. 1년간의 육성 기간을 거쳐 5억원의 지분투자를 받고, 롯데그룹 벤처캐피털인 롯데벤처스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프로젝트 간다’팀도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진공포장해 바로 갈아 마실 수 있는 ‘스무디 키트’의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판매에 돌입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