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Newswire] 화웨이, 1,300MWh 규모의 세계 최대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수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1년 10월 20일 PRNewswire=연합뉴스) Huawei Digital Power가 이달 16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67개국 500명 이상이 참석한 Global Digital Power Summit 2021을 마쳤다.
Huawei Digital Power는 이 회의에서 세계 최대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인 400MW PV 및 1,300M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솔루션(BESS)을 포함하는 홍해 프로젝트(Red Sea Project)를 위해 SEPCOIII와 핵심 계약을 체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1년 10월 20일 PRNewswire=연합뉴스) Huawei Digital Power가 이달 16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67개국 500명 이상이 참석한 Global Digital Power Summit 2021을 마쳤다. Huawei Digital Power는 이 회의에서 세계 최대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인 400MW PV 및 1,300M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솔루션(BESS)을 포함하는 홍해 프로젝트(Red Sea Project)를 위해 SEPCOIII와 핵심 계약을 체결했다. 양 당사자는 사우디아라비아가 글로벌 청정에너지 및 녹색 경제 센터를 건설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이번 1,300MWh 오프 그리드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글로벌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매우 획기적인 사건이다.
홍해 프로젝트는 사우디 비전(Saudi Vision) 2030의 핵심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이 프로젝트의 개발사는 ACWA Power이며, EPC의 총계약자는 SEPCOIII이다. 홍해 연안에 위치한 NEOM은 전적으로 재생에너지로 구동되는 미래형 도시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프로젝트는 석유와 같은 자원이 점점 고갈되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견인하고, 새로운 경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10년 이상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구 및 개발 경험과 8GWh 이상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적용 경험을 갖춘 Huawei Digital Power는 PV가 주요 에너지원이 되는 친환경적이고 밝은 미래 건설을 목표로 한다. Huawei Digital Power는 디지털 정보 기술을 PV 및 에너지 저장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스트링, 지능형 및 모듈식 설계를 활용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스마트 스트링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화웨이 소개
1987년에 설립된 화웨이는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및 스마트 기기 부문의 세계적인 공급업체다. 회사는 197,0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17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전 세계 30억 명 이상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화웨이의 비전과 사명은 완전히 연결된 지능형 세상을 위해 모든 사람, 가정 및 조직에 디지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사는 유비쿼터스 연결을 추진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촉진하며,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지구 곳곳에 공급함으로써 적재적소에 뛰어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산업과 조직이 더 민첩하고 효율적이며 역동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고, AI로 사용자 경험을 재정의함으로써 집 또는 사무실에서, 혹은 이동 중에도 상관없이 삶의 모든 측면에서 사람들에게 더 맞춤화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추가 정보는 회사 웹사이트 www.huawei.com을 참조하거나 아래 계정에서 화웨이를 팔로우한다.
http://www.linkedin.com/company/Huawei
http://www.twitter.com/Huawei
http://www.facebook.com/Huawei
http://www.youtube.com/Huawei
출처: Huawei Digital Power
[편집자 주] 본고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음을 밝혀 드립니다.
(끝)
출처 : PRNewswire 보도자료
Copyright © 연합뉴스 보도자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민감국가 지정 배경 아직도 오리무중…정부 대응 한계 우려 | 연합뉴스
- '선 관세폭탄, 후 무역질서 재편' 예고한 미…한국도 사정권 | 연합뉴스
- 尹대통령 '운명의 한 주'…20∼21일께 탄핵심판 선고 전망 | 연합뉴스
- 트럼프 "내일 푸틴과 대화…전쟁 끝낼 수 있는지 보길 원해" | 연합뉴스
- 故김새론 유족, 경찰에 유튜버 이진호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 연합뉴스
- 국민의힘 39.0%·민주 44.3%…정권 교체 55.5%·연장 40.0%[리얼미터](종합) | 연합뉴스
- FT "美 외교정책 변화, 韓日에 큰 도전…국방비 증액 불가피" | 연합뉴스
- 포항서 상수도배관 이음 작업 중 터짐 사고…폭발음에 주민 놀라 | 연합뉴스
- 서울 '국민평형' 14억원 넘어…강남3구 평균 20억원 웃돌아 | 연합뉴스
- 미국발 'R의공포' 속 나홀로 원화약세…성장-물가 복합 난제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