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1발, 일본은 2발..북한 SLBM 놓고 다른 숫자 왜
북한이 19일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수를 놓고 한ㆍ일 당국이 다른 분석을 내놔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은 “1발 발사”를, 일본 측에선 “2발 발사”라는 판단이다. 전문가들은 실제 발사 수가 확인될 경우 양국 중 어느 한쪽의 군사 정보력 신뢰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본다.
이날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10시 17분쯤 SLBM으로 추정되는 미상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슷한 시각 일본 방위성은 “오전 10시 15분과 16분, 1분 간격으로 북한이 동쪽으로 탄도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중 1발은 최고 고도 약 50km로 변칙적인 궤도로 약 600km를 비행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에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도 이날 오전 11시쯤 후쿠시마시에서 기자들에게 “조금 전 북한에서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양국 간 정보 분석에 혼선이 알려진 가운데 군 관계자는 기자들의 관련 질문에 “(한ㆍ미 자산으로) 1발 탐지했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한ㆍ일은 북한 미사일 분석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군 관계자는 “둥근 지구 표면의 특성상 레이더의 전파가 닿는 거리가 한계가 있다”며 “한국은 발사 지점(북한), 일본은 탄착 지점(태평양 등 해상)에 대한 정보가 각각 상대적으로 정확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시험 발사가 SLBM으로 추정되는 만큼 발사 수는 매우 중요한 분석 요소로 보고 있다. 군 당국은 “해상 발사”라고만 언급할 뿐 발사 장소가 수중 바지선인지, 잠수함인지조차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미사일 전문가인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만일 일본 발표대로 2발이 맞다면 바지선이 아닌 잠수함에서 발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신포-B(2000t급) 잠수함의 경우 발사관이 1개뿐이어서 2발을 쏠 수 없다”며 “SLBM 2~3발을 탑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인 신포-C(3000t급)일 수 있다”고 짚었다.
이철재ㆍ김상진기자kine3@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김선호 쩔쩔매는 이유...전 연인 정체 드러나면 파급력 커"
- 김선호 광고 위약금은? "계약 기간 1년에 4~5억, 보통 그 2배"
- 심상정 "설계한 자가 죄인"…사상초유 대선후보 국감 충돌
- 윤석화 46년 연극인생…"내 돈 들여 죽을만큼 열심히" 무대에 선다
- 안젤리나 졸리가 덥썩 안았다...마동석이 소개한 한국 여성 정체
- 10년 근속에 1억 벤츠 받아…치어리더 박기량이 밝힌 반전 과거
- 이재명 국감장 온 대장동 주민 "원주민만 호구…특검 받아라"
- 배우 김동현, 억대 사기 혐의로 집행유예…이번이 네 번째
- 허이재 갑질 폭로 그 후···성관계 제의, 직장내 괴롭힘 될까
- 그의 손가락은 9개, 이젠 우동 삶는다...일본 발칵 뒤집던 야쿠자의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