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월세·임금 다 올랐다".. 커지는 인플레 우려

전웅빈 입력 2021. 10. 18. 04: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된 9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세부 내역이다.

미국인의 주요 먹거리가 1년 전보다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되고 있는 주요 데이터는 이런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애틀랜타 연준이 노동통계국 데이터를 분석해 최근 발표한 '임금 추적기'를 보면 이직자들은 1년 전보다 시간당 5.4% 임금 인상을 받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월 美 CPI 전년 동월比 5.4% 올라
스테이크용 소고기 22.1% '껑충'
내년 물가상승률 2008년 후 최고
AP연합뉴스


스테이크용 소고기 22.1%, 스테이크용 돼지고기 19.2%, 베이컨 및 브렉퍼스트 소시지 14.6%, 달걀 12.6%….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된 9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세부 내역이다. 미국인의 주요 먹거리가 1년 전보다 얼마나 올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CPI는 전년 동월 대비 5.4% 올라 5개월 연속 5%대 상승을 이어갔다. 그런데 미국 시민들이 피부로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이보다 훨씬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의미다.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금의 물가 상승이 팬데믹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주장해 왔다. 시장에서는 그러나 물가 상승 추세가 일시적인 게 아닐 것이라는 의견이 점차 우세해 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노동자들은 임대료를 포함해 많은 생활필수품 가격이 오르는 것을 보고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그로 인해 기업은 가격을 더 인상하고, 근로자는 다시 추가 급여 인상을 요구한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임금·물가의 악순환적 상승’(wage-price spiral) 효과다. 물가상승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져 임금이 오르고, 이는 다시 물가를 끌어올리는 현상이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되고 있는 주요 데이터는 이런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9월 CPI 세부 내역을 보면 휘발유 및 무연 가스 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43.3% 올랐고, 트럭을 포함한 차량 렌트 비용은 42.9%가 올랐다. 미국 임대주택 플랫폼 드웰시에 따르면 올해 임대료 평균은 지난해 대비 9.6% 상승했다. 주거비용과 생활필수품 가격이 동시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

노동력 부족이 지속되면서 임금 인상 속도도 빠르다. 애틀랜타 연준이 노동통계국 데이터를 분석해 최근 발표한 ‘임금 추적기’를 보면 이직자들은 1년 전보다 시간당 5.4% 임금 인상을 받았다.

생필품 가격 상승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소비자 심리에도 이미 반영되고 있다. 미시간대학 소비자연구센터는 지난주 “소비자들이 내년 물가 상승률을 4.8%까지 예상한다.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이런 지표가 나오면서 보수 언론은 조 바이든 대통령을 ‘크리스마스를 훔친 괴물 그린치’로 묘사하며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물건 구하기도 어렵고, 가격도 치솟아 우울한 연말이 될 것이라는 경고다. ‘크리스마스를 훔친 바이든 스티커’를 판매하는 쇼핑몰까지 등장했다.

인플레이션 우려는 지지층 이탈을 불러오며 바이든 대통령 지지율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WP는 “9월 초 이후 바이든 대통령의 평균 지지율은 44%까지 떨어졌다”며 “흑인, 라틴계, 여성, 젊은층 등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 지지가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퓨 리서치센터 여론조사를 보면 흑인 유권자 사이에서 바이든 대통령 지지율은 7월 85%에서 지난달 67%로 떨어졌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이 뉴스에 대해 의견을 나눠보세요.
톡방 종료까지 남았습니다.

타임톡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