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농부들, 첫 쌀농사 '대풍'이요!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인구절벽과 지방소멸의 위험 한 가운데 놓인 농촌의 현실이 위태롭습니다. 마을교육공동체를 통해 농촌의 희망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교육은 지역 재생 발전의 핵심 요인입니다. 지역의 교육이 살아야 지역의 삶은 희망을 꿈꿀 수 있습니다. 현장 '활동가'의 눈으로 그려낸 마을교육공동체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합니다. 전남 영광군 묘량면 '깨움 마을학교'의 이야기입니다. <기자말>
[이민희 기자]
▲ 농벤져스와 함께 농사경력 40~50년 이상의 베테랑 농부들이 어린이농부학교의 농사스승들이시다. |
ⓒ 깨움마을학교 |
수확의 계절이다. 농촌은 분주하다. '어린이농부학교' 아이들이 연중 농사를 짓고 있는 '희망농장'도 가을걷이를 서두른다.
▲ 어느새 농꾼~!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요령을 터득하고 나니 척척 베어나간다. 낫으로 벼를 베는 아이의 폼새가 그럴듯하다. |
ⓒ 깨움마을학교 |
▲ 낫으로 벼베기, 차분하고 신중하게. 처음 잡아보는 낫이라 서툴고 어려워하는 아이에게 어르신이 하나하나 코치를 해주신다. |
ⓒ 깨움마을학교 |
'농벤져스'와 함께 유쾌한 '가을걷이'
"농사 잘 지었네. 애들이 했는데도 잘 자랐구만. 걱정했는데 풍년이네."
희망농장 가을걷이를 이끌어 주기 위해 오신 마을 어르신들의 칭찬이다. 어린이농부학교 농사 스승으로 아이들과 함께 해 오신 어르신들은 농사경력 40~50년 이상의 베테랑 농부들이다. 하늘의 이치까지 헤아려야 하는 고도의 전문적 능력을 탑재한 농사 분야 고수들이시다. 이 '농벤져스'가 작년부터 어린이농부학교의 마을교사로 활동해왔다.
▲ 100% 수동으로 탈곡하기 콤바인이 없었던 옛날에는 이런 방식으로 탈곡을 했다. 보기에는 간단해보이는데 막상 해보니 쉽지 않다는 걸 느낀다. 어르신이 아이들에게 요령을 가르쳐주신다. |
ⓒ 깨움마을학교 |
▲ 이것은 뭐에 쓰는 물건인가? 처음으로 '홀테'라는 것을 접했다. 발로 굴러서 탈곡을 하는 반기계식 농기구다. |
ⓒ 깨움마을학교 |
난생처음 보는 '홀테'도 신기하기는 마찬가지다. 용어도 낯설고 생김새도 범상치 않은 이 기구로 탈곡을 했다고 한다. 홀테를 통과한 벼에서 낟알이 우수수 떨어져 나갔다. 아이들 눈에는 그저 신기하고 놀랍다. 이내 반복적인 홀테 작업이 꽤 힘든 노동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요즘은 기계로 하는 일을 옛날에는 이렇게 일일이 사람이 했다. 어르신들의 이야깃거리가 쏟아져 나온다. 추수철이 되면 부잣집만 가지고 있는 홀테를 빌려 쓰기 위해 줄을 서야만 했다는 이야기, 홀테로 훑어 땅에 떨어진 알곡을 한 알도 버리지 않고 줍기 위해 허리가 휠 정도로 땅만 봤던 이야기, 농업이 기계화가 되면서 편해지긴 했지만 옛날 방식을 잃어버려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들.
▲ 풍년이요~!! 추수가 끝났다. 수확량이 제법이다. 가슴 뿌듯한 감동이 올라온다. |
ⓒ 깨움마을학교 |
추수를 기점으로 연중 농사가 서서히 마무리되어가고 있다. 귀한 배움을 얻어 아이들은 또 한 뼘 깊어지고 성장했을 것이다. 배움은 학교의 울타리 너머로부터 왔다.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결단과 용기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길이란 알기 어려운 게 아닐세. 바로 저편 언덕에 있거든. 이 강은 바로 저들과 우리의 경계로서 언덕이 아니면 곧 물이지. 사람의 윤리와 만물의 법칙 또한 저 물가 언덕과 같다네. 그러므로 길이란 다른 데서 찾을 것이 아니라 언덕과 물 그 '사이'에 있는 것이라네." (박지원, '열하일기' 중에서)
▲ 추수를 끝내고 시끌벅적한 가을걷이가 끝났다. 농사짓는 일년 동안 작물이 자라는 만큼 아이들도 성장했다. |
ⓒ 깨움마을학교 |
'사이'는 이것과 저것이라는 이분법을 벗어난 제 3의 경로다. 학교와 마을이 손을 잡는다는 것은 이 '제3의 경로'를 여는 것과 같다. 배움은 학교와 마을의 '사이' 어딘가에 존재하는 무궁무진한 미지의 영역이다. '사이'라는 제 3의 경로를 열어젖히는 것은 어느 한쪽의 힘만으로는 안된다. 양자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보태야 가능하다.
어린이농부학교라는 '사이'에서 교육적 맥락과 삶의 맥락이 융합할 수 있었다. 어른들은 길을 열었고 아이들이 창조해나갔다. 일 년 동안 농작물만 키운 것이 아니었다. 아이들을, 교사들을, 마을 주민들을, 학부모들을 키웠다. 그래서 농사는 기적인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율주행차,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
- 북천 연어는 속초 '아바이' 닮았다
- 정치에 무관심했던 나, 노회찬 '낡은 가방'에 목이 메었다
- 살 수 있었는데... 아무도 도망가지 않았다
- 1년에 하루, 50대 친구들과 함께 산부인과에 갑니다
- [돗자리 5화] 이재명 가장 주목되지만 걱정이라는 40대 가장... 왜?
- 캐나다의 추수감사절, 이 음식들을 빼놓으면 안 됩니다
- 부마항쟁 기념식 김부겸 "민주주의,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게 아니다"
- 논문 "반납되지 않았다"는 보도에 이재명측 "분명히 반납"
- 손흥민 코로나19 감염? 토트넘 "선수 2명 확진" 초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