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한일 청구권 협정 시각차..외교해법 찾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신임 총리와 통화에서 "양국 간 외교 해법을 모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15일 청와대는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기시다 총리와 30분간 통화하며 외교당국 간 협의와 소통을 가속하는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일 청와대는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이날 오후 기시다 총리와 30분간 통화하며 외교당국 간 협의와 소통을 가속하는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 문제에 대해 “피해자분들이 납득하면서도 외교 관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생존해 있는 피해자 할머니가 열네 분이다. 양국이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 언급했다.
이어 “일본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를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이웃 국가로서, 동북아 지역을 넘어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함께 협력해야 할 동반자”라면서 앞으로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북외교 문제에 대해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증강을 막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 달성을 위해 북한과 대화 및 외교를 빨리 재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조건 없이 직접 마주하겠다는 기시다 총리의 의지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yeye@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혈사태 우려’에도 겉과 속 다른 정치권…‘언행불일치’
- MBK 김병주 ‘1조’ 출연 전망에 업계는 회의적…“국회 나와 답해야”
- 경찰, 김성훈 경호처 차장 4번째 구속영장 신청 가닥
- 김석환 위믹스 대표 “통렬히 반성…공지 지연, 은폐 목적 아냐” [쿠키 현장]
- 의료공백 1년간 3조5000억 소비…“재정 건전성 큰 피해”
- 예산도 인력도 부족…무연고 장례 책임 떠안은 지자체 ‘막막’
- 트럼프 특사 “트럼프, 푸틴과 이번 주에 통화할 것”
- “수업 참여하면 동료 아냐”…교육부, 건대의대 수사 의뢰
- “尹 파면하라”…현수막 내건 광주 북구청장 고발당했지만 “헌재 판결까지 철거 안한다”
- 경기 양주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崔대행 “방역 조치 철저히 해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