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뚫고 종전선언 골인?..서훈, 이번주 '워싱턴 미션'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번 주 초 방미길에 오른다. 카운터파트인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문재인 정부가 주력하고 있는 종전 선언을 포함한 대북 접근법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 실장의 미국 방문은 지난 4월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1일 “서 실장 방미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미 엇박자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종전선언을 포함한 한국 정부의 대북 접근법을 미국 측에 설득하기 위한 일정”이라며 “북한이 ‘조건 없는 대화’에 응답하지 않는 상황에서 마냥 대화 국면이 조성되는 걸 기다리기엔 시간이 촉박한 만큼 발 벗고 직접 나서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현재의 남북관계는 일견 한반도 평화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외연을 갖춘 것처럼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UN총회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을 띄우며 대북 유화 제스처를 취했고,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좋은 발상”이라며 호응했다. 지난 4일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남북 통신연락선이 복원됐다.
하지만 북한의 원하는 핵심 조건인 대북제재에 관한 한 바뀐 게 없다. 달라진 점이라면 한국 정부가 미국의 대북 원칙론과 다른 얘기를 꺼내고 있다는 점이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제는 대북 제재 완화도 검토할 때가 됐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이를 놓고 임기 말 문재인 정부가 미국과 엇박자를 내는 걸 꺼리지 않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종전선언·제재완화 '대미 설득' 과제
실제 정부와 여권 일각에선 북한이 요구하는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에 대한 정치적 응답으로 종전선언이 활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표출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4일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 및 이중기준 제거를 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문재인 정부 입장에선 어떤 형태로든 이에 반응을 보여야 임기 내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시도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외교 소식통은 “이중 기준 문제의 경우 유엔 안보리 결의로 직접적인 해결이 어려운 반면 대북 적대시 정책의 경우 한·미 연합훈련과 대북제재를 포함한 대북 접근법의 문제일 수 있다”며 “종전선언을 통해 남북 대화가 재개되고 서로의 속내를 터놓고 논의할 수 있다면 북한의 반발을 잠재울 다양한 카드가 마련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단 이를 위해선 미국이 대북제재 전선을 먼저 허물어야 하는 만큼 문재인 정부의 대미 설득이 먹힐지는 불투명하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19살에 180억원 로또 당첨된 영국 청소부···"최고의 10년" 근황 보니
- 심석희 사과 "동료 비하 미성숙했다, 최민정 충돌 고의는 아냐" [공식입장]
- '비밀결혼' 이다영, 임영웅에 "저 어때요?"···과거 발언 재조명
- 진중권 "피터팬 돼 후크 선장 없애니, 웬디는 사모펀드 했더라"
- 33세 영국 최연소 할머니···"16세 때 낳은 딸이 17세에 출산"
- 스위스 바젤의 세계적 건축가, 그가 지은 도산대로 이 건물
- 운동해도 날씬해도…40대 남성 암 잘 걸리는 '뜻밖의 요인'
- 김용호, 미국서 유튜브 켰다 "이재명 정보 알고있었다...취재중"
- 샌드위치 속 '3조원 핵잠기밀'···FBI에 걸린 美부부 은밀한 거래
- 호·불호 극명히 갈리는 이재명, 그의 인생 바꾼 '2004년 그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