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대기업 거래처 78%가 ESG 평가 요구하지만 지원은 없어"

백민정 2021. 9. 30. 15: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삼성·LG·SK 등 대기업 중심으로 ESG(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 경영에 나서고 있지만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ESG 경영 여력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은 지난 8월30일~9월17일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현재 ‘ESG 경영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중소기업은 53%였으나 도입 환경은 ‘준비돼 있지 않아 어렵다’고 답한 기업이 89%에 달했다. ‘전혀 준비가 안 됐다’는 응답이 53%, ‘거의 안 됐다’ 36%였다.

300개 중소기업 가운데 대기업 등 거래처로부터 ESG 관련 정보를 요구받은 경험이 있는 업체는 전체의 12%로 나타났다. ESG 관련 정보는 비재무적인 정보로, 근무시간·산업안전·에너지 사용량·폐기물 및 대기오염 관리·사회공헌·윤리경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ESG 평가를 요구해온 거래처는 대기업(중견기업 포함)이 78%로 가장 많았고, 해외 거래처(22%), 중소기업(6%), 공기업(3%) 등의 순이었다.

거래처의 ESG 평가는 실제 거래에도 영향을 줬다. 거래처의 ESG 평가 관련, ‘개선요구 후 미개선 시 거래정지’ 됐다는 응답이 47%였다. 반면 ESG 평가를 요구한 거래처의 지원은 드물었다. 거래처의 지원이 ‘전혀 없다’는 응답이 52.8%, ‘약간의 지원은 있으나 거의 도움이 안 된다’(30.6%)였다.

중소기업계는 거래처나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ESG 도입 확산 요구가 적절한지를 묻는 질문에 54%가 ‘아니오’라고 답했다. ‘물적⋅인적 비용 부담 가중’(40%)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이밖에 ‘중소기업과 직접적 연관 없음’(19.9%), ‘관련 지원 부족’(14.9%), ‘시기적으로 이름’(13.0%) 등으로 답했다.

현재 정부에서 대기업 ESG 평가지표를 마련 중인 시점에서 ‘협력사의 공정거래 운영 노력’(53%)이 강조돼야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또 평가지표 필요 요소로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납품단가 반영 노력’(60%), ‘적정 납품단가 지급 및 조정’(55%), ‘공정계약 체결여부’(41%), ‘중소기업 기술보호 노력’(20%) 등을 꼽았다.

중소기업 ESG 애로조사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이 ESG 경영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정부가 ESG 평가에 대·중기 공정거래 지표를 세분화·확대해야 한다”며 “대기업도 협력사에 대한 일방적 ESG 평가가 아닌,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설비구축 등 상생노력을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