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도 넘은 '망 무임승차'.."3년간 부당이익 반환하라" SKB, 넷플릭스에 반소

조슬기나 2021. 9. 30. 11: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차민영 기자]SK브로드밴드가 막대한 트래픽을 일으키고도 국내에서 사용료 한 푼 내지 않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공룡’ 넷플릭스 측에 지난 3년간의 망 이용대가를 청구하는 반소를 제기했다.

법원의 1심 판결조차 불복한 넷플릭스의 ‘망 무임승차’가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망 무임승차·조세회피 논란에 입을 꾹 닫은 넷플릭스는 오히려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한국 콘텐츠 투자로 5조6000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일으켰다는 생색내기용 자화자찬에만 바쁜 모양새다.

◇"망 사용료 내라" SKB, 반소 제기

SK브로드밴드는 30일 오전 민법의 부당이득반환 법리에 의거해 넷플릭스에 망 이용대가 청구를 위한 반소를 제기했다. 이는 서울중앙지법이 지난 6월 넷플릭스가 SK브로드밴드를 상대로 제기한 채무 부존재(채무 없음) 확인 소송에서 원고인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에 패소 판결을 내린 데 따른 후속조치다.

SK브로드밴드는 "1심 판결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가 협상에 전혀 응하지 않은 채 망 이용대가 지급을 이행하지 않아 부당이득반환 법리에 의거 지난 3년간의 실제 망 이용대가를 청구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SK브로드밴드는 자사가 구축하고 임차한 국내·국제 데이터 전송망을 이용해 넷플릭스가 이용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익을 얻고 있음에도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음에 따라 망 이용대가에 상응하는 손실을 입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OTT시장을 장악한 넷플릭스가 SK브로드밴드 망에서 발생시키는 트래픽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 5월 50Gbps 수준에서 올해 9월 현재 1200Gbps 수준으로 약 24배 급증했다. 급증한 트래픽만큼 이를 관리, 유지하기 위한 SK브로드밴드 측의 손실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들의 망 무임승차 논란은 하루 이틀이 아니다. 2분기 일평균 트래픽 상위 10개 사업자 중 해외 CP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78.5%에 달한다.

김상희 국회부의장은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CP는 연간 수백억 원의 망 사용료를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에) 지불하면서 안정적인 망 관리와 망 증설에 협력하고 있다"면서 "정작 폭증하는 트래픽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글 유튜브, 넷플릭스 등은 망 사용료를 외면하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넷플릭스는 컴캐스트, 버라이즌, AT&T 등 해외 ISP에는 망 이용대가를 지급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더욱이 넷플릭스는 망 이용대가를 지급해야 한다는 국내 사법부의 판단도 불복해 항소를 제기한 상태다. 앞서 1심에서 법원은 "넷플릭스가 SK브로드밴드를 통해 인터넷 망 연결이라는 유상의 역무를 제공받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넷플릭스가 이에 대한 대가 지급 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고 형평에 부합한다"고 판결했다.

SK브로드밴드는 "넷플릭스가 1심 판결에서 인정한 망 이용의 유상성을 부정하는 것은 통신사업자의 기본 비즈니스 모델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국내외 CP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지급하는 망 이용대가를 넷플릭스도 똑같이 지급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부당이득 청구 금액은 통상의 재판 절차와 마찬가지로 법원이 주관하는 감정 절차를 통해 결정된다.

두 회사의 법적 공방은 2019년 11월 SK브로드밴드가 방송통신위원회에 넷플릭스와의 망 사용료 갈등 중재를 신청한 상황에서 넷플릭스가 중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소송을 제기하며 비화했다. 당시 국내 매출만 수천 억대인 방송통신사업자가 규제 당국인 방통위의 중재조차 ‘패싱’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감 앞두고 ‘상생’ 자화자찬

내달 국감을 앞두고 면피성 홍보와 자화자찬에 급급한 넷플릭스의 행보도 도마 위에 올랐다.

넷플릭스는 전날 ‘파트너 데이’ 미디어 행사를 열고 한국 콘텐츠 투자 등을 통해 5년간 5조6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냈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국회 상임위 곳곳에서 플랫폼 사업자를 타깃으로 한 움직임이 이어지자, 부랴부랴 상생과 동반성장을 강조하고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측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 일반 증인으로 채택된 상태다.

하지만 망 이용대가 지급 의무와 조세회피 논란은 외면한 채 동반성장을 외치는 넷플릭스의 행보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국회 과방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콘텐츠 생태계에 일조한 것은 사실이지만 네트워크 생태계와 조세 의무 등은 외면하고 있지 않느냐. 수년간 국회에서 지적해 온 책무는 외면한 채 상생과 동반성장을 자랑하는 것은 진정성이 없다"고 꼬집었다. 일각에서는 넷플릭스가 국내 콘텐츠의 판권, 지식재산권(IP) 등을 차지하며 한국이 콘텐츠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잇따른다.

넷플릭스를 둘러싼 조세 회피 논란도 매년 국회에서 지적돼온 이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국내에서만 4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작년에 낸 법인세 비용은 21억8000만원에 그쳤다. 비슷한 규모의 매출을 기록한 국내 IT기업의 법인세는 158억이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