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도 비대면 서비스 시대..대출 권수 34%↑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공공도서관 하루 평균 대출 권수가 승차, 택배, 우편, 무인 등에 힘입어 오름세를 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도서관협회가 27일 발표한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 평균 대출 권수는 62만9553권이다.
택배와 우편 대출은 도서관이 휴관해도 대출 도서를 원하는 장소에서 받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인 무인대출 서비스(스마트도서관)도 자리를 잡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인대출 서비스 비롯해 승차, 택배, 우편 등 활성화
지난해 공공도서관 하루 평균 대출 권수가 승차, 택배, 우편, 무인 등에 힘입어 오름세를 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도서관협회가 27일 발표한 전국 공공도서관 통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 평균 대출 권수는 62만9553권이다. 2019년 45만4997권보다 38% 늘었다. 도서관당 하루 평균 대출 권수도 537권으로, 2019년 401권보다 34%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휴관과 제한적 운영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과다. 지난해 도서관당 연간 개관일 수는 187일에 그쳤다. 전년(294일)보다 36.4% 감소했다. 도서관당 방문자 수도 7만6431명으로, 전년(25만804명)보다 69.5% 줄었다. 악조건에도 대출 권수가 늘어난 건 승차, 택배, 우편 등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승차 대출은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신청한 대출 도서를 차에 탄 채로 주차장, 공원 등에서 전달받는 서비스다. 택배와 우편 대출은 도서관이 휴관해도 대출 도서를 원하는 장소에서 받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비대면 서비스인 무인대출 서비스(스마트도서관)도 자리를 잡았다. 이용률이 2019년 77만6850건에서 지난해 124만1923건으로 62.6% 상승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지역주민이 이용하기 편리한 공공장소에서 24시간 무인으로 도서를 대출할 수 있어 수요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비대면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주민 편의시설에 무인도서대출기 설치를 지원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구축하는 디지털화 자료의 인터넷 이용을 점진적으로 늘리겠다"라고 했다.
한편 지난해 공공도서관 수는 1172곳으로 파악됐다. 전년보다 서른여덟 곳 늘었다. 등록된 회원 수는 국민의 약 53%에 해당하는 2700만여 명이다. 그러나 도서관당 직원 수는 15명으로, 전년보다 0.5명 줄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 아이돌 성 상납 일파만파…여성 아나운서 추가 폭로에 日 방송가 '발칵' - 아시아경제
- "대통령님 무사하세요"…서울구치소 앞 매트 깔더니 108배 한 남성 - 아시아경제
- "유부남인 것 뒤늦게 알았다" 했지만…'상간녀 피소' 하나경, 항소심도 패소 - 아시아경제
- "화상·아토피·무좀 진료 안 합니다"…피부과 문전박대 당하는 환자들 왜? - 아시아경제
- "근데 너희 돈 없잖아" 찬물 뿌린 머스크…트럼프 '퍼스트 버디' 맞나 - 아시아경제
- "벌써 4년치 일감 확보"…한 달도 안돼 주가 43% 껑충 뛴 '이 회사' - 아시아경제
- 롯데리아의 대반란…7년만에 '1조 클럽' 재입성 - 아시아경제
- 잘못 배달한 간짜장·탕수육…"그냥 드세요" 했더니 "1만원 받으세요" - 아시아경제
- "尹, 의연한 대처…민주 점령군 행세에 민심 돌아서" 여론조사에 고무된 신평 - 아시아경제
- 박사방 뛰어넘은 '목사방' 터졌다…10대 피해자만 159명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