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 안맞고 피부에 붙이면 끝"..'반창고형' 코로나 백신 패치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반창고 형태의 코로나19 백신 패치가 개발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대와 스탠포드대 공동연구팀은 일반 백신 주사보다 면역효과가 큰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반창고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백신'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23일(현지 시각)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미국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반창고 형태의 코로나19 백신 패치가 개발됐다. 패치에 미세한 침이 박혀 있어 피부 위에 붙이기만 하면 되는 방식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대와 스탠포드대 공동연구팀은 일반 백신 주사보다 면역효과가 큰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반창고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백신'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23일(현지 시각) 밝혔다.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이 백신 패치는 백신칩 한 면에 젤이나 반고체 형태로 된 약물을 코팅해 제작됐다. 이를 피부에 반창고처럼 붙이면 체온에 의해 녹으면서 미세침을 통해 피부 안쪽으로 흡수된다.
연구팀은 "동물 연구 결과 백신 패치로 인한 면역 반응이 기존 주사를 사용한 백신 주입보다 10배 이상 높았다"고 설명했다. 주사 접종으로 투여되는 약물보다 적은 양으로도 똑같은 면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백신 기술은 보관과 운반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약물이 고체형태로 코팅돼 있으므로 기존 백신들처럼 냉장고나 냉동고에 저온 보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 의료기관에서 백신칩을 받아서 피부 위에 붙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예방접종률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현재 연구팀은 화이자·모더나와 같은 RNA 백신을 백신칩으로 만들기 위한 상용화 연구에 착수한 상태다.
조셉 드시몽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는 "고통과 불안이 없는 저용량으로 백신을 더욱 신속하게 전 세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를 희망한다"면서 "백신칩은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코로나19는 물론 독감, 홍역, 간염 등 백신의 종류와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달리며 기부하던 가수 션, 직원 뽑으려다 눈물의 사과 왜? - 아시아경제
- 나훈아, 야권 비판에 "자기 일이나 똑바로 해라…용서 못해" - 아시아경제
- 김희철 "사실 어디서도 밝히지 않은 건데…" 뒤늦은 충격 고백 - 아시아경제
- "3분간 여자 껴안는데 9000원"…일본에 있다는 카페 논란 - 아시아경제
- "위·아래서 찍고 맛있다 박수치고"…식당 전세 낸 먹방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7일이냐 31일이냐…계산기 두드려본 정부 "27일이 낫다" - 아시아경제
- 갑자기 '사각형'으로 모양 바꾼다는 과자…팬들 "만우절이냐" 폭발 - 아시아경제
- 노후주택 매입한 현빈, 이 방법으로 140억 시세차익 - 아시아경제
- 100년 전 일본인 4만명 앗아간 '불기둥'…LA에도 나타났다 - 아시아경제
- "비트코인 8000개 찾아야 해"…10년간 쓰레기장 뒤진 남성 근황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