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봉중근-김태균 대담① 한국 야구, 국제경쟁력 왜 떨어졌나

배중현 2021. 9. 24. 0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O리그 투·타 레전드인 봉중근(오른쪽)과 김태균이 한자리에 모였다. 현역 시절 리그는 물론이고 국가대표에서도 맹활약했던 두 선수는 현재 해설위원으로 현장을 누비고 있다. 그 누구보다 KBO리그의 현재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잘 인지하고 있다. 일간스포츠 창간 52주년 인터뷰에서 김태균과 봉중근은 "한국 야구만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시종 기자 jung.sichong@joongang.co.kr

프로야구는 1982년 출범 이후 매년 성장을 반복했다. 2012년 프로야구는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첫 700만 관중을 돌파했고, 2016년에는 800만 관중을 넘어섰다. 2013년 NC, 2015년 KT가 1군에 진입해 구단도 10개까지 늘었다. 엄청난 양적 성장을 이뤄내며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 자리를 굳건히 했다. 하지만 최근 질적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지난 8월 막을 내린 도쿄올림픽 '노메달 쇼크' 이후 정신력과 근성을 지적하는 비판이 쏟아졌다. 프로야구 안팎 사건·사고까지 겹쳐 자성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일간스포츠는 창간 52주년을 맞이해 봉중근(41)과 김태균(39·이상 KBS N 스포츠) 해설위원을 만나 한국 프로야구의 위기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두 해설위원은 KBO리그와 해외리그를 모두 경험한 공통점이 있다. 봉중근 위원은 미국 메이저리그(MLB), 김태균 위원은 일본 프로야구(NPB)에 잠시 몸담았다. KBO리그에선 LG와 한화의 투·타 레전드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태극마크를 달고 한국야구의 위상을 높인 산증인이기도 하다. 2009년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대표팀을 준우승으로 이끌며 나란히 대회 올스타에 선정됐다. 그들은 "한국야구만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제대회 부진 이유를 스트라이크존에서 꼽는 전문가들도 있다. KBO리그는 스트라이크존이 좁은 편이다. 반면 국제대회에선 반대다. 스트라이크존이 커져 선수들이 겪는 혼란이 크다. 도쿄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이유 중 하나로 스트라이크존 적응이 거론된다. 이 이야기부터 먼저 꺼내보았다.

-국제대회와 KBO리그 스트라이크존은 어떤가.

김태균(이하 김)="국제대회에선 각 나라의 심판들이 와서 판정한다. 각각 성향이 다 다르고 스트라이크존도 마찬가지다. 선수들은 심판 성향을 빠르게 파악해서 거기에 맞는 준비와 대처를 해야 한다."

봉중근(이하 봉)= "맞다. 국제대회에선 심판들이 타자 몸쪽 스트라이크를 잘 잡아주지 않는다. 대신 높은 쪽 코스를 후하게 봐준다. 이번 도쿄올림픽에서도 그렇게 진행됐는데 투수들이 적응을 전혀 못 했다. 준비가 부족했다."

김= "KBO리그 중계를 하다가 올림픽 중계 화면을 보니까 확실히 스트라이크존이 좁더라. 편하게 던지면 되는데, 자신 있게 던진 공이 볼 판정이 나면 스트라이크존에 넣다가 맞는다. 더 세게 던지다 보면 체력 소모도 커진다. 중계하면서 '이건 스트라이크 아닌가'하는 경우도 몇 번 있었다."

봉= "2018년 은퇴 이후 3년 동안 해설을 했다. 스트라이크존은 이전보다 좌·우·상·하 모두 전체적으로 다 좁아졌다."

김= "선수들이 당황할 수밖에 없다. 국가대표에 차출될 정도의 선수들은 자신만의 스트라이크존을 만드는 능력이 있다. 시즌 중 스트라이크존이 형성돼 있는 상태에서 국제대회에 나갔는데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 공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으면 흔들린다. 타자들은 빠르게 타격해야 겠다고 생각해 마음이 급해진다. 자기 스윙이 나오지 않는다. 좋았던 타격 밸런스가 흐트러질 수 있다."

봉= "(도쿄올림픽) 준비 과정에서도 아쉬움이 있었다. 지금은 국제대회 멤버가 세대교체 되는 시기라 준비과정이 더욱 중요했다. 예비엔트리를 50명 정도로 추렸을 때 스트라이크존이나 국제 심판 성향 등을 미리 파악해야 했지 않았나 생각한다. 더 많은 준비가 필요했다는 얘기다."

김= "예전에는 (KBO리그) 심판마다 특성이 있었다. 그런데 판정 결과에 따라 많은 비판을 받다 보니 심판마다 자기만의 스트라이크존 특성이 사라진 느낌이다. 만약 몸쪽을 약간 후하게 주면 바깥쪽을 덜 주면 된다. 일관성이 있으면 선수들도 납득할 수 있다. 하지만 심판도 사람이다 보니까 더 적은 비판을 받기 위해 스트라이크존이 좁아지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타자들 불만이 쌓이고 투수들도 마찬가지다."

일간스포츠 창간 52주년 대담에서 얘기를 하고 있는 김태균의 모습. 정시종 기자 jung.sichong@joongang.co.kr

봉= "1회 고전하는 선발 투수들이 많다. 심판의 성향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김= "심판 특성을 파악해 타격을 다르게 하는 것도 야구의 일부분이다. 국제대회에서 심판마다 성향을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도 야구다."

봉= "2009년 WBC 때 일본은 내가 나올 거라고 예상하지 못했을 거다. 그만큼 분석도 부족했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등판이 가능한 주요 선수만 타깃 분석을 했다. 이번 올림픽에서 일본은 신인 이의리(KIA)까지 분석했다. 그걸 보면 '한국 투수들을 전부 다 분석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전력 분석이 그만큼 중요하다."

김= "중근이 형이 WBC 때 잘한 게 전력분석이 안 돼 있었던 것도 있지만, 분석 탓만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한 번이 아니라 두 번이나 당했으니 말이다. 그만큼 선수가 실력이 있었고 등판 때마다 변화를 줬다. 결론적으로는 현재 선수들의 능력이 많이 떨어진 건 부인할 수 없다."

봉= "KBO리그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수준이 높다. 수준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다만 각 팀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가진 비중이 높았다. 최근에 KIA 양현종, LG 박용택, 한화 김태균 등 팀에서 비중이 높았던 선수들의 이탈이 생기다 보니, '왜 야구가 이렇게 됐지'라는 생각이 든다."

━ 구속 감소, 뒤로 가는 훈련 환경 탓

KBO리그는 구속 경쟁력이 심각하다. 국내 선수들의 평균 패스트볼 구속이 시속 142㎞를 넘지 않는다. 야구통계전문업체 스포츠투아이에 따르면 지난해 141.5㎞/h, 올 시즌엔 141.6㎞/h에 불과하다. 평균구속이 시속 150㎞를 넘는 미국 메이저리그(MLB)는 물론이고 일본 프로야구(NPB)에도 크게 뒤처진다. NPB 평균구속은 시속 145㎞/h 안팎으로 매년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구속에 대한 지적이 많은데.

봉="일본, 미국과 비교하면 안 된다. 우린 아마추어 선수층과 인프라가 부족하다. 그 영향이 프로까지 온다. 아마추어 때는 성적을 내기 위해 투수들의 변화구 의존도가 높아졌다. 타자들이 나무 배트를 쓰기 시작하면서 변화구를 던졌을 때 안타 맞을 확률이 떨어지니 구속을 올리는 게 아니라 변화구 구사 의존도가 높아졌다."

김= "주말 리그로 바뀌다 보니 훈련할 수 있는 시간이 전체적으로 줄었다. 공부도 해야 하니 운동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 체력훈련을 많이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진로·진학 문제가 걸린 3학년뿐만 아니라 저학년들도 실력이 좋으면 경기에서 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당연하다."

일간스포츠 창간 52주년 대담에서 얘기를 하고 있는 봉중근의 모습. 정시종 기자 jung.sichong@joongang.co.kr

봉= "시대가 바뀌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프로선수라면 무조건 해야 하는 훈련 프로그램이 있다. 20년 전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다. 구속을 늘리는데 트래킹 시스템이 큰 도움이 될까. 그건 투구 회전수를 비롯한 세부 분석엔 도움이 되지만 결국 트레이닝을 통해 몸을 만들어야 한다. 운동 방식 자체가 미흡하다는 생각이 든다. 솔직히 ‘올드스쿨’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런 부분이 필요하다."

김= "옛날 거라고 해서 다 버리는 건 좋지 않다. 트래킹 시스템이나 데이터 분석은 ‘양념용’이다. 그게 정답일 수 없다. '발사각이 몇 도가 돼야 홈런이 나온다' 이런 얘기는 다 한다. 결국 연습을 해야 한다. 트레이닝이 필요하고, 자기한테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많은 운동 속에서 자신만의 타격법과 훈련법을 만들 수 있다. 너무 트래킹 시스템에 의존하면 안 된다. 몸이 준비가 안 되어 있는데 무슨 소용인가."

봉= "맞는 말이다. 투수도 마찬가지다. 하체를 이용해야 공이 빨라진다. 이걸 '정말 옛날이야기'라 얘기한다. 그래도 하체 회전을 잘하는 선수들이 부상도 적고 구속이 빠르다. 상체로만 던지는 투수들은 구속이 빠를 수 있지만 오래 못 간다. 과거 상체로만 던졌던 메이저리그 선수들도 이제는 하체 잘 쓴다. 예전과 양상이 거꾸로 가는 것 같다."

김= "그게 정답이라는 걸 알게 된 것이니 거꾸로 가는 것 아니겠는가."

봉= "2009년 WBC 때 일본전 끝나고 나서 애틀랜타 때 같이 있었던 관계자가 '너 왜 이렇게 달라졌나. 한국은 무슨 훈련을 하는가'라고 물어봤다. 결국 2~3년 뒤에 한국 프로그램을 일부분 갖고 트레이닝을 하더라. 옛날 방법이 무조건 필요 없는 게 아니다. 지금 메이저리그도 바뀌고 있다."

배중현 기자, 김영서 인턴기자

〉〉2편에 계속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