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英총리 만나 '위드 코로나' 조언 요청..'오커스' 언급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를 만나 '위드 코로나'에 대한 조언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영국의 '위드 코로나'를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다며 조언을 구했고, 존슨 총리는 한국이 코로나에 훌륭하게 대응하고 있고 백신 접종을 효과적으로 하면서 잘 관리하고 있다는 평가로 조언을 갈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를 만나 '위드 코로나'에 대한 조언을 요청했다. 존슨 총리는 최근 영국, 호주, 미국이 맺은 '오커스(AUKUS)' 파트너십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주 유엔대표부 양자회담장에서 존슨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자 관계와 실질협력, 기후변화 및 코로나19 대응, 한반도 및 지역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지난 6월 주요7개국(G7) 정상회담 이후 100일만에 영국 측 요청으로 개최됐다.
문 대통령은 영국의 '위드 코로나'를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다며 조언을 구했고, 존슨 총리는 한국이 코로나에 훌륭하게 대응하고 있고 백신 접종을 효과적으로 하면서 잘 관리하고 있다는 평가로 조언을 갈음했다.
또 존슨 총리는 "한국과 영국 간에 백신 교환을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고, 문 대통령은 "백신 교환은 한-영 우호 관계를 잘 보여 주는 사례로, 백신 교환을 계기로 한영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양국 정상은 백신 접종 사실을 확인하며 우의를 다지기도 했다. 존슨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어떤 백신을 접종했는지 묻고, 문 대통령이 '아스트라제네카'라고 답하자 존슨 총리는 '나도 같은 백신을 접종했다'고 답했다.
최근 영국, 호주, 미국이 맺은 '오커스' 파트너십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존슨 총리는 "오커스는 역내 어떤 문제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문 대통령은 "3자 파트너십인 오커스가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정세 관련 영국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의 협조에 사의를 표했고, 존슨 총리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한국의 입장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양 정상은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존슨 총리가 제기한 '석탄 발전 감축'과 관련해 한국은 이미 석탄발전소 8개를 폐쇄했고, 올해 2개를 폐쇄해서 총 10개를 폐쇄했다고 답했다. 또 해외 석탄 발전에 대한 신규 공적 자금 지원 역시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영국과 유럽연합(EU) 국가들은 1990년대를 정점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점진적으로 감축했지만, 우리는 2018년을 정점으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 그리고 2030년 NDC(온실가스감축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이처럼 도전적이고 어려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의욕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존슨 총리가 언급한 '퀸 엘리자베스 항모단'과 관련해서는 "퀸 엘리자베스 항모단 방한이 양국 간 국방 교류·협력 강화에 기여한 점을 평가한다"고 밝혔고, '경항모 사업'과 관련해서는 "현재 진행 중인 양국 해군 간 기술 협력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존슨 총리는 '한-영 양자 프레임워크'에 대해 언급했고, 문 대통령은 "한-영 양자 프레임워크 초안을 검토 중에 있다"며 "우리는 한반도, 아세안을 포함하는 지역협력 강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고, 계속 조율해 협력을 강화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심도 깊은 논의를 하게 되어 매우 뜻깊었고, 양자 협력뿐 아니라 한반도 문제,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공동 관심사에 대해서도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4세에 시작, 100번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아"…'성형 광풍' 中 외신도 경악 - 아시아경제
- "남편 없는 날 많아"…추신수 아내, 100억 美 저택에 만든 '이것' - 아시아경제
- "우리 회사도 필요해"…'하루 1회 이상 샤워' 공지글에 격한 공감 - 아시아경제
- "삐죽 웃으면 94%가 이혼하더라"…심리학자 근거는? - 아시아경제
- "배변량 줄고 자꾸 쉬려고 해"…중국 간 푸바오 또 - 아시아경제
- 3개월 딸 100만원에 판 친모…13년만에 '징역 1년' - 아시아경제
- "지금 내리면 430만원 드려요" 승무원 말에 승객들 "나도 나도" - 아시아경제
- "이게 1만2000원?"…체육대회 선수단에 제공한 도시락 '부실' 논란 - 아시아경제
- "차라리 병째 시키세요"…관광객들 다 속는다는 와인 '분갈이'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어" 민폐 유튜버 소말리…서경덕 "처참한 몰락"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