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숙 "中企 사이버위협에 무방비..해킹피해 90% 차지"

조슬기나 2021. 9. 18. 0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킹 등 사이버위협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피해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최근 3년간 해킹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민간기업 사례는 1383건이며 이중 중소기업 사례가 1246건으로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해킹 등 사이버위협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피해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최근 3년간 해킹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민간기업 사례는 1383건이며 이중 중소기업 사례가 1246건으로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9년 418건, ▲2020년 603건, ▲2021년 7월 말 현재 362건이 발생했다. 월평균으로는 ▲2019년 34건, ▲2020년 50건, ▲2021년 7월 말 현재 51건 등이다. 월평균으로 연말까지 산정했을 경우 올해 최대 600건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1246건의 피해를 입으면서 전체 90%를 차지했다. 이어 ▲비영리 기업 95건(7%), ▲대기업 42건(3%) 순이다.

올해의 경우 ▲중소기업 338건(93%), ▲비영리 기업 15건(7%), ▲대기업 9건(2%) 등 전년 대비 대기업과 비영리 기업은 감소했지만, 중소기업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 유형별로는 같은 기간동안 ▲시스템 해킹이 614건으로 전체 4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DDos 1,246건(33%), ▲악성코드 감염·유포 304건(22%) 순이다. 올 들어서는 ▲시스템 해킹 160건(44%), ▲악성코드 감염·유포 105건(29%), ▲DDos 97건(27%) 등으로 악성코드 감염·유포 사례가 DDos 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사이버위협 중 실제 검거된 비율은 낮다. 경찰청이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기반으로 2019년부터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발생한 사이버위협 사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이버위협 발생 건수 9653건 중 실제 검거된 건수는 2262건으로 검거율 23%에 그쳤다.

연도별로는 ▲2019년 3638건이 발생했고, 이중 28%인 1007건이 검거됐다. ▲2020년에는 4344건 중 911건(21%), ▲2021년 1671건 중 344건(20.6%) 등으로 매년 검거 건수가 감소하는 추세다. 유형별로 살펴본 올해 사이버위협 검거 건수는 ▲해킹 1,181건 중 176건(15%), ▲악성프로그램 76건 중 36건(45%), ▲디도스 7건 중 3건(43%), ▲기타 407건 중 131건(32%) 등이다.

양정숙 의원은 “사이버위협으로 대기업 및 비영리 기업의 피해는 줄어들고 있으나, 중소기업의 피해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의 경우 ‘악성코드 감염·유포’가 ‘DDos’보다 더 많이 발생함에 따라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사이버위협에 대한 검거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로 해킹이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정작 검거 비율은 현저하게 낮아 민간기업의 사이버 해킹 피해가 우려된다”며, “사이버위협 발생 원인 분석을 통한 민간기업이 해킹 및 Ddos에 대해 원할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