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상환 유예 '모럴헤저드' 우려..금융위 "부실관리 가능" 반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당국이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인 이자상환 유예 조치 재연장이 '모럴헤저드(도덕적 해이) 우려'를 불러올 것이란 지적과 관련해 "부실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전 금융권이 지난해 4월부터 올 7월까지 지원한 만기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실적은 총 222조원에 달한다.
당초 금융당국은 금융권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자 상환 유예 조치의 재연장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진호 기자] 금융당국이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인 이자상환 유예 조치 재연장이 '모럴헤저드(도덕적 해이) 우려'를 불러올 것이란 지적과 관련해 "부실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금융위원회는 15일 보도참고자료 배포를 통해 "금융권이 관련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전 금융권이 지난해 4월부터 올 7월까지 지원한 만기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실적은 총 222조원에 달한다. 다만 금융위는 7월 말 기준으로 볼때 총 대출잔액 규모가 120조7000억원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고정 이하로 분류된 여신비율이 1.4%(1조7000억원)에 그친다고 부연했다.
앞서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정 협의서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금융 지원 연장을 원하고 있다"며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3차 재연장을 결정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을 두고 금융권은 대출받은 사람들의 이른바 모럴헤저드를 걱정하고 있다. 코로나 금융지원 장기화로 이른바 ‘착시효과’가 나타나고 있고 이로 인해 잠재적 부실을 키우게 될 것이란 지적이다. 실제 금융지주 회장 등은 최소한의 부실을 걸러내기 위해선 이자 상환 유예 조치는 종료해야 한다는 입장을 금융당국에 전달한 바 있다.
당초 금융당국은 금융권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자 상환 유예 조치의 재연장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이었다. 고 위원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16일 주요 금융협회장들과의 간담회 등에서 관련 내용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해당 조치의 재연장 여부는 이날 오전 당정 협의를 통해 깜짝 발표됐다. 이를 두고 금융권은 일방적인 통보에 가깝다며 아쉽다는 반응이다.
김진호 기자 rplkim@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교 1등 소년가장' 김홍일, 백종원 가정교사였다 - 아시아경제
- 이재용, 시민들 향해 웃으며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나요" - 아시아경제
- 하루아침 388억 돈방석…'블랙핑크 완전체'에 양현석 웃었다 - 아시아경제
- 300만원 찍었던 명품 협업폰 가격 뚝…되팔이꾼 낭패 - 아시아경제
- "연말엔 통뱃살 참치회·초밥 파티"…참다랑어값 '반토막' - 아시아경제
- "여자애한테 남자이름 쓰지마…콤플렉스 생겨" 강제하는 '이 나라' - 아시아경제
- "시동 꺼져도 2~3시간 배터리 온도 체크"…전기차 화재 우려 덜어낸다 - 아시아경제
- '서울의봄' 반란군에 맞서다 숨진 병장…조선대 명예졸업장 받는다 - 아시아경제
- 한동훈·이정재 사진에 대상홀딩스우 '7上'…누가 거래했나 보니 - 아시아경제
- "놀랬제, 나도 이런 우박은 처음이데이" 부산 밤새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