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밀 위험' 엘리베이터, 바이러스 차단기술 특허출원↑

정일웅 2021. 9. 14. 09: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밀폐·밀접·밀집'을 통칭하는 일명 3밀 위험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의 특허출원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 차단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2010년~2019년 연평균 15건에서 지난 한 해 114건으로 급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바이러스 전파 차단 기술 특허출원 현황 그래프. 특허청 제공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밀폐·밀접·밀집’을 통칭하는 일명 3밀 위험도가 높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는 기술의 특허출원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14일 특허청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내 바이러스 전파 차단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2010년~2019년 연평균 15건에서 지난 한 해 114건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대표적 3밀 공간으로 꼽히는 엘리베이터 안에서의 바이러스 전파 차단기술이 세간에 주목을 끌면서 가능했던 결과다.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바이러스 전파 차단기술은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호출해 목적지 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과 내부 공기를 정화하고 살균·소독하는 기술, 접촉식 버튼을 살균·소독하는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이중 비전촉식 정보입력 기술은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해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손을 인식해 정보를 전달받는 방식과 음성 및 스마트폰 등으로 정보를 전달받는 방식이 주로 적용됐다.

또 내부 공기정화 및 버튼 살균·소독기술은 엘리베이터 내에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살균제를 살포하거나 자외선으로 내부를 살균·소독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지난해 기준 이들 기술별 특허출원은 비접촉식 정보입력 기술 40건(35%), 내부 공기 정화 및 살균·소독기술 38건(33%), 버튼 살균·소독기술 36건(32%) 등으로 비중이 고르게 분포했다.

출원인별 현황에선 2010년~2019년 기업 및 연구기관에 집중(71%)되던 것과 달리 지난해는 개인의 출원비중(61%)이 기업 및 연구기관(39%)을 앞지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내 3밀 환경이 국민 살갗에 와 닿는 위험으로 인식, 실생활에서 떠오른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허청 운송기계심사과 박주성 심사관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위험요소가 신기술을 통해 하나, 둘 개선되길 바란다”며 “특허청은 엘리베이터 내 3밀 문제를 해소하는 아이디어가 특허출원으로 이어진 것처럼 실생활에서 얻은 아이디어가 자연스레 특허로 출원되는 일들이 많아질 수 있게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