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소방, 벌 쏘임 '주의보→경보' 격상

이영규 2021. 9. 14.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가 최근 잇달아 벌에 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벌 쏘임 사고주의 예보를 '경보'로 한 단계 올렸다.

경기소방본부는 최근 경기지역에서 벌 쏘임 사고로 3명이 사망함에 따라 지난 7월30일 올 들어 첫 발령한 벌 쏘임 주의보를 지난 7일 경보로 한 단계 격상했다고 14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동 소방관이 주택 내 벌집을 제거하고 있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가 최근 잇달아 벌에 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벌 쏘임 사고주의 예보를 '경보'로 한 단계 올렸다.

경기소방본부는 최근 경기지역에서 벌 쏘임 사고로 3명이 사망함에 따라 지난 7월30일 올 들어 첫 발령한 벌 쏘임 주의보를 지난 7일 경보로 한 단계 격상했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3년간 도내 벌 쏘임 사고를 보면 2018년 1323건, 2019년 955건, 2020년 1111건 등 총 3389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77%인 869건이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지난 달 말까지 657건이 발생해 3명이 사망했다.

경기소방본부는 7~9월에 벌 쏘임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추석을 맞아 벌초와 성묘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등산객ㆍ나들이객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벌 쏘임을 예방하려면 야외활동 시 밝은 색 계열의 옷과 소매가 긴 옷을 입어 팔과 다리의 노출을 줄이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벌집과 접촉했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몸을 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하게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홍장표 경기소방본부 생활안전담당관은 "말벌 등에 쏘이면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과민성 쇼크가 발생해 1시간 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만큼 최대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하거나 119에 즉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