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변보호 요청하겠다고 한 조성은, "尹 위협에 공수처까지.."

천금주 2021. 9. 12. 08: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시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공익신고자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 경찰에 신변보호 요청을 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총장의 지지자들에게 위협을 당하고 있어서다.

채널A는 조 전 부위원장이 “지금 윤석열 지지자들이 난리라고 했다”며 “심각한 위협을 당하고 있어 경찰에 신변보호 요청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고 1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조 전 부위원장은 13일 국민권익위원회에도 공익신고자 신청을 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조 전 부위원장은 자신은 제보자가 아닌 공익신고자라며 그동안의 신고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검찰 신고에 대해 “친한 기자들에게 전화번호를 수소문해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에게 직접 연락해 공익신고를 하고 싶다고 했다”고 밝혔다. 감찰부장을 직접 찾아간 이유에 대해서는 “김오수 검찰총장은 조국 전 장관 때 차관을 했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민주당 소속이라 정치적으로 해석 안 되기 위해서였다”고 설명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와 관련해서는 “(공수처에서) 몇 번 연락을 달라고 했는데 대검 절차를 마칠 때까지 기다렸다”며 “하지만 윤 전 총장 기자회견을 보고 다음 날 공수처에도 자료를 넘겨줬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애초부터 공익신고자 절차를 다 준비해 놨으니까 오자마자 해줄 수 있으니 빨리 좀 협조해 달라고 했다”고도 전했다.

조 전 부위원장은 박지원 전 국정원장 등 여권 인사와의 친분은 인간적인 신뢰 관계이자 정치적 이해관계가 아님을 분명히 했다. 보도 직후 조 전 부위원장은 12일 새벽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익신고를 하게 된 이유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에게 직접 연락한 까닭 ▲공수처에까지 자료를 넘긴 배경 ▲자신이 이렇게 나서게 만든 상황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매일 400여통의 전화가 오고 있다”고 운을 뗀 조 전 부위원장은 “제한적 시간으로 통화가 이뤄지다 보니 (사실과 다른 보도가 나와) 바로잡는다”고 했다. 대검에 공익신고한 것은 “공익신고자의 요건과 보호에 관해 그 대상 기관은 ‘국민권익위원회, 국회의원 외 수사기관’도 대상이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대검찰청 역시 (사실관계가 확인된다면) 비위 당사자(고발 사주)인 기관이자 진상조사의 감찰기관이기 때문에 매우 민감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 조 전 부위원장은 “누구를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심각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진상조사 책임자인 한동수 감찰부장님에 대한 법조기자들의 객관적인 평가와 신뢰의 내용을 확인해 직접 말씀드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부장이) 공익신고자 보호를 위해 권익위를 제안했지만 스스로 ‘신변보호는 두 번째, 이 자료가 해당 수사기관이 직접 인지하지 않고 제3의 기관들에서 떠돌아다니길 원치 않는다’고 했다”고 한 조 전 부위원장은 “지난 8일 김웅 및 윤 전 총장의 기자회견 이전에는 제출한 자료들의 포렌식 등 절차가 마치는 것을 마무리로 일상에 돌아가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윤 전 총장의 기자회견이 자신을 공수처로 이끌었다고 주장한 조 전 부위원장은 “자꾸 ‘젊은(경험 없고 미숙한)’ ‘(어쩌저쩌한) 여성’의 이미지로 내가 ‘감히’ 판단하고 결정할 수 없다는 식으로 이 사건이 ‘어떻게 내게 대검 감찰부장을 만나고 이런 일을 혼자 하나, 뒤에 누가 있다’고 하고 싶겠지만 선거마다 책임과 결정이 있는 역할을 한 경험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전 부위원장은 김웅 의원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기도 했다. “모 변호사에게 ‘김웅 후보 좋은 사람, 크게 될 분이니 만나보시라’는 이야기를 전달했던 부분은 진심이었다”고 한 조 전 부위원장은 “그렇기 때문에 압수수색 등에 처한 상황과 개인적인 비극은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가장 정직하게 사실관계와 진실이 등장하는 것이 내가 속했던 선대위와 어쩌면 김 의원에게도 가장 정직하고 적은 책임을 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한 그는 이를 처음 보도한 뉴스버스 이진동 기자에게 섭섭함과 분노가 있다는 심경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자신이 기자의 신분이었어도 이러한 중대 사건은 반드시 보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공감했다.

조 전 부위원장은 마지막으로 “부득이하게 이 사건에서 역할이 부여되었다면 나 개인을 뭉개는 방법으로 회피하게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필요한 부분 내에서만 언론에 직접 출연해 사실관계를 밝힐 예정”이라고 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