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중앙대도 신입생 10% 자퇴..이유는 "반수하려고" [뉴스원샷]
━
남윤서 교육팀장의 픽: 대학생 중도탈락
대학에 다니는 학생이 자퇴나 미등록 등의 이유로 제적된 경우를 중도탈락이라 부릅니다. 대학 중도탈락 학생은 최근 몇년간 늘고 있습니다. 지난 2014년 4%였던 대학 중도탈락생 비율은 2019년과 2020년 4.6%를 넘었습니다.
중도탈락 사유는 ‘자퇴’가 61.5%로 압도적으로 높고 휴학생이 정해진 기간 내 복학하지 않은 ‘미복학’이 25.4%를 차지합니다. 학사경고나 유급으로 제적당한 학생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은 스스로 학교를 포기한다는 뜻입니다.
중도탈락의 증가는 소위 말하는 하위권 대학에서만 나타나는 일이 아닙니다. 이른바 ‘SKY’라 불리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3개대 평균 중도탈락률은 2007년만 해도 1.1%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2.1%로 높아졌습니다.
서강대, 중앙대도 신입생 10%는 ‘자퇴’
특히 서강대(11.8%), 중앙대(10.3%), 한국외대(10.2%) 등 많은 서울 소재 대학이 10%를 넘는 신입생 중도탈락률을 보였습니다. 이들 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 사유는 거의 모두 ‘자퇴’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선망하는 인서울 대학에 들어왔지만 1년도 되지 않아 자퇴하는 학생이 많다는 얘기입니다.
종로학원 오종운 평가이사는 대학 중도탈락의 증가가 매년 5만~6만명으로 추정되는 ‘반수생’의 증가 탓이라고 지적합니다. 지방대 학생은 서울 소재 대학으로, 서울 소재 대학생은 SKY 대학으로, SKY 대학생은 의대 등으로 갈아타기 위한 반수가 최근 들어 강화된다는 것입니다.
늘어나는 ‘반수’, 원인은 취업난
최근 몇년간 대학 중도탈락률이 다시 높아진 것이나 반수생의 증가도 그때와 배경이 비슷합니다. ‘역대급’ 청년 취업난이 수년째 계속되고 있고 전공에 따라 일자리 격차도 큽니다.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의 중도탈락생을 전공별로 보면 공대, 생명과학대, 인문대 등이 많습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부분 의대를 가려는 학생이거나 연고대의 경우 서울대를 가려는 학생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되고 있고, ‘학벌이 전부가 아니다’라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체감하는 사회는 여전히 명문대나 의대를 가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 같습니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발사주' 제보자 조성은이 과거 SNS에 올렸던 사진
- 5만명 몰린 '영남 알프스' 31g 은화…완등자 모두 받게 됐다 [뉴스원샷]
- [단독]금융계 또 '낙하산'…'소득주도' 靑행정관이 무보 감사
- 문화콘텐트로 설욕? '백종원 경고' 무시한 청년구단 재도전
- 마수드 전설쓸까…탈레반 찌른 '아프간 파촉' 판지시르 부대
- 또 안돕는 '우주의 기운'…열병식 자제했는데 "베이징 가지마" [뉴스원샷]
- "'목포' 지명 빼야" "70년 역사 외면" 목포해양대 교명 갈등 왜
- 미국 휴스턴에 걸린 초대형 '블랙핑크' 제니 속옷 광고
- 장윤정 집 한달새 29억 올랐다…럭셔리주택 수십억 ‘하이킥’ [뉴스원샷]
- 태풍 '찬투' 올라오는 중…전에 온 '오마이스'보다 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