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결국 '고발 사주' 공식 대응 나서.. 갈 길은 구만리

최기창 2021. 9. 10.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힘이 결국 '고발 사주' 의혹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는 고발 사주 의혹이 터진 이후 보여준 이 대표의 과거 언행과는 사뭇 다른 행보다.

한겨레는 지난 8일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고발장을 작성할 당시 참고용 초안을 전달한 사람이 당무감사실장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이 초안은 검찰 사주 의혹이 제기된 '4월 고발장'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대표 '공명선거추진단 출범' 공식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연합뉴스

[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국민의힘이 결국 ‘고발 사주’ 의혹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전까지 거리를 두던 모습과는 다르게 사태가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9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명선거추진단을 출범하기로 의결했다”며 “위원장은 언론과 소통이 편하고 전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김재원 최고위원이 맡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는 고발 사주 의혹이 터진 이후 보여준 이 대표의 과거 언행과는 사뭇 다른 행보다. 앞서 그는 당 차원의 공식적인 입장이나 대응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표시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지난 3일 한국프레스센터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열린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법률 위원회는 수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을 수는 있다. 그런데 공식적인 회의는 없었다고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오히려 공을 검찰에 넘기기도 했다. 이 대표는 “검찰이 결과를 내는 게 좋을 것이다. 그래야 제대로된 검증이 될 것”이라며 해당 문서의 생산자인 검찰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여러 언론으로부터 추가 보도가 이어지자 그는 입장을 선회했다.

한겨레는 지난 8일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고발장을 작성할 당시 참고용 초안을 전달한 사람이 당무감사실장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이 초안은 검찰 사주 의혹이 제기된 ‘4월 고발장’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밝혔다. 결국 4월 고발장을 바탕으로 실제로 고발이 이뤄진 셈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당무 감사를 추진하게 된 이유다.

앞서 해당 의혹에 거론된 인물들이 제대로된 해명을 내놓지 못한 것도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힌다.

김웅 의원은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실제 보도된 고발장은 저와 관련이 전혀 없다”며 “모 매체를 통해 보도된 해당 고발장은 내가 작성한 것이 아님을 명백히 밝힌다”고 말했다. 또한 “나는 당시 선거운동에 집중하느라 나에게 제보되는 많은 자료에 대해 검토할 시간적 여유조차 없었다. 당원으로서 제보받은 자료를 당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바로 전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후보 역시 마찬가지였다. 윤 후보는 “번번이 선거 때마다 이런 식의 공작과 선동으로 선거를 치러서 되겠나 하는 한심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여러분 앞에 섰다”며 “작성자가 확인돼야 신빙성 있는 근거로 의혹도 제기할 수 있는 것인데 그런 게 없는 문서는 소위 괴문서”라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뉴스타파나 뉴스버스가 (보도)한 뒤 (다른 언론사가) 막 달라붙을 게 아니다. 국민들이 잘 알지 못하는 곳에 던져 놓고 쭉 따라가지 말고 자신 있으면 처음부터 독자가 많은 KBS나 MBC에서 바로 시작하라는 것”이라고 강하게 불만을 표시했다.

이 대표 입장에서는 결국 국민의힘이 당 차원의 대응을 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된 셈이다. 다만 여전히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사태의 심각성과 비교할 때 여전히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했기 때문이다.

그는 “원문을 입수해서 어떤 경위인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다. 이런 것도 김 최고위원이 맡은 공명선거추진단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도 살펴보긴 하겠지만 아직 언론에 나온 내용 외에 특별한 사안을 알고 있지 못한다. 그래서 공익제보자로 지정되신 분이 누구인지도 정확히 파악 못 하고 있다. 그런 부분은 저희도 언론 이상으로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mobydic@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