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뮤지컬 '하데스타운', 현대사회에 대한 매혹적인 우화

장지영 2021. 9. 9.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새로운 생명 불어넣어.. 참신한 음악·안무·무대 디자인도 매력
뮤지컬 '하데스타운'에서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가 사랑을 느끼는 장면. 에스앤코 제공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 뉴욕 브로드웨이는 코로나19로 약 18개월간 폐쇄됐다가 최근 다시 문을 열었다. 연극은 지난달 22일 ‘패스 오버(Pass Over)’, 뮤지컬은 지난 2일 ‘하데스타운’과 ‘웨이트리스’가 스타트를 끊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이야기를 소재로 한 ‘하데스타운’은 브로드웨이가 폐쇄되기 직전 가장 핫한 작품이었다. 2019년 3월 22일 프리뷰를 시작해 4월 19일 본공연에 돌입한 ‘하데스타운’는 그해 6월 9일 제73회 토니상에서 14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돼 작품상, 연출상, 음악상, 무대 디자인상 등 8개 부문을 휩쓸었다. 최근 영화 원작의 뮤지컬이 주류를 이루는 상황에서 오리지널 스토리를 바탕으로 했다는 점에서 평단과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이후 티켓값이 고공행진(브로드웨이는 티켓 재판매 제도에 따라 가격 유동적)을 하는 등 흥행이 지속됐지만 이듬해 3월 12일 코로나19로 인한 브로드웨이 폐쇄로 아쉽게 막을 내려야 했다.

그런 ‘하데스타운’의 첫 라이선스 공연이 한국에서 이뤄졌다. 지난 7일 LG아트센터에서 개막한 ‘하데스타운’(제작 에스앤코)은 당초 지난달 24일 무대에 오를 예정이었으나 출연진과 스태프 등 23명이 무더기로 코로나에 감염되면서 2주 연기됐다. 대형 뮤지컬의 경우 코로나19 탓에 재공연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하데스타운’은 지난달 폐막한 뮤지컬 ‘비틀쥬스’와 함께 드문 신작이다. 두 작품 모두 브로드웨이에서 핫한 신작의 라이선스 공연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뮤지컬 '하데스타운'에서 하데스가 다스리는 지하세계. 에스앤코 제공

‘하데스타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극작가인 아나이스 미첼이 2006년부터 그리스 신화를 모티브로 노래들을 발표한 것이 그 출발점이다. 2010년 이들 노래를 모은 콘셉트 앨범이 성공을 거두자 미첼은 2년 뒤 연출가 레이첼 채브킨을 만나 무대화를 상의했다. 채브킨은 올봄 국내에서도 공연된 성스루(대사가 거의 없이 노래로만 진행되는) 뮤지컬 ‘그레이트 코멧’을 당시 개발 중이었는데, 이 작품은 2017년 브로드웨이에서 먼저 개막해 호평받았다. 미첼은 상업 뮤지컬을 위해 15곡을 더 쓰고 스토리를 가다듬었는데, 2016년 오프 브로드웨이 공연을 거쳐 2019년 브로드웨이까지 진출하게 됐다.

출발부터 남다른 ‘하데스타운’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하데스와 페르세포네’의 이야기와 캐릭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독특한 작품이다. 원래 그리스 신화에선 뛰어난 리라 연주자인 오르페우스는 사랑하는 아내 에우리디케가 뱀에 물려 죽자 저승세계로 아내를 찾으러 간다. 저승을 다스리는 하데스와 그의 아내 페르세포네는 오르페우스의 연주에 감동받아 에우리디케를 이승으로 돌려보내기로 한다. 단 이승에 도착할 때까지 오르페우스가 에우리디케를 돌아봐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하지만 아내가 잘 따라오는지 걱정된 오르페우스가 되돌아보는 바람에 에우리디케는 다시 저승으로 돌아가게 된다. 결국, 혼자 이승에 온 오르페우스는 슬퍼하다가 자신도 죽게 된다.

‘하데스타운’은 세기말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가난한 지상세계와 의식주가 해결되지만, 자유 없이 노동을 강요당하는 지하세계를 오간다. 지상세계에서 음악가를 꿈꾸는 청년 오르페우스와 가난한 아가씨 에우리디케가 만나 사랑에 빠진다. 행복도 잠시, 오르페우스가 음악에 몰두하는 동안 에우리디케는 궁핍한 삶에 지친다. 반면 또다른 커플인 지하세계의 지배자 하데스와 그의 아내 페르세포네는 권태기의 중년 부부로 1년의 반 이상을 떨어져 산다. 신화에선 하데스가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 페르세포네에게 한눈에 반해 납치해 결혼한다. 하지만 데메테르의 항의를 받은 제우스의 중재로 페르세포네가 1년의 1/3만 하데스와 살게 되는데, 이때 세상에는 겨울이 온다.

뮤지컬 '하데스타운' 중 지하세계에서 노동에 시달리는 사람들. 에스앤코 제공

하데스는 에우리디케에게 자신이 다스리는 하데스타운에서는 단순한 노동만 하면 굶지 않는다고 이야기하고, 에우리디케는 하데스와 계약을 맺는다. 에우리디케는 자유 없는 노동의 반복으로 자아를 잃어간다. 오르페우스가 뒤늦게 극 중 해설자이기도 한 헤르메스의 도움으로 에우리디케를 찾으러 오지만 하데스는 계약을 들어 거절한다. 어쩔 줄 모르던 오르페우스는 자신이 만든 노래를 부르는데, 하데스와 페르세포네는 서로에게 잃어버렸던 사랑을 다시 떠올린다.

신화와 마찬가지로 뮤지컬에서도 오르페우스의 노래에 감동한 하데스가 지상에 도착할 때까지 에우디리케를 보지 않는 조건으로 보내준다. 하지만 오르페우스는 뒤를 돌아보는 실수를 반복한다. 그런데, 뮤지컬은 오르페우스가 죽는 대신 에우리디케와 다시 만나는 첫 장면으로 돌아간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듯하다.

‘하데스타운’의 두 세계는 어느 한쪽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사랑과 돈’ ‘안정과 모험’ 등 대립적인 가치 가운데 무엇을 선택할지 묻는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반드시 부딪히는 문제이자 각각의 입장이 분명히 드러나는 세계관이기 때문에 세대를 불문하고 스토리에 공감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랑이라는 보편적 테마와 함께 에우리디케 등 죽은 자와 지배자 하데스는 각각 노동자와 자본가에 투영됨으로써 현대 사회의 경제 격차 문제를 상기시킨다.

이외에 ‘하데스타운’은 대사가 적고 노래와 밴드 연주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가 진행되는 만큼 콘서트를 보는 듯한 재미를 준다. 특히 재즈, 블루스, 포크음악 등 다양한 장르가 뒤섞인 음악은 기존의 뮤지컬에서는 경험하지 못한 것이다. 여기에 뉴올리언스풍의 술집부터 지하세계에서 죽은 자들이 일하는 공장까지 회전무대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무대디자인 및 다이나믹한 안무 등 볼거리가 많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