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령 61세, 지하철에서 일하는 '춤꾼들'
[이정희 기자]
개인적으로 '로망'이 있다. 한 70쯤 돼서 '먹고사니즘'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 '머리에 꽃을 꽂고 한복을 나풀거리며 추는' 고전 무용을 배워보고 싶다. 그런데 나의 '로망'을 일찌감치 실현한 이들이 있다. 내 또래의 지하철 청소노동자들이다. 그들의 삶, 그들의 노동이 춤이라는 예술로 구현되었다.
▲ <ebs다큐 프라임 - 예술의 쓸모; 1.춤, 바람입니다> |
ⓒ ebs |
그런데 정말 예술은 '삶의 현장'에서 이반된 존재일까? 다큐는 예술의 쓸모를 찾기 위해 삶의 현장에 눈을 돌린다. 지난 5월 <지하철 차차차>란 10여 분의 공연이 있었다. 9명의 무용수들이 10개월간 준비한 공연이 지인들 앞에서 펼쳐졌다. 공연이 끝나고 관객들은 눈물을 흘리며 차마 자리를 떠나지 못했다. 이날의 감동을 길어올린 것은 무엇이었을까?
2020년 10월 지하철 1~4호선에서 일하는 청소 노동자 등 9명이 현대 무용가 예호승씨와 만났다. 춤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을 모은다 하여 지루박이나 탱고를 배울 줄 알고 왔다는 평균 연령 61세의 사람들, 그런데 안무가는 그들에게 자신의 몸으로 이름을 써보라는 것으로 '춤'을 시작했다.
저마다의 삶이, 저마다의 노동이 춤으로
의도하는 게 뭘까? 하면서도 팔꿈치로, 몸짓으로 원을 그리며 이름을 쓰기 시작한 사람들, 이렇게 힘들게 이름을 써본 적이 없다는 나이 지긋한 이들의 몸 속에서 '춤'이 열려져 나온다.
▲ <ebs다큐 프라임 - 예술의 쓸모; 1.춤, 바람입니다> |
ⓒ ebs |
동대 입구 역에서 야간 근무를 하는 배남이씨는 처음엔 누가 알아볼까봐 코로나 시절이 아니었는데도 마스크를 쓰고 근무를 했었다고 한다. 내 인생이 어쩌다 쓰레기통을 뒤지면서까지 살게 되었나 싶어 견디기 힘들었다고 한다. 그런 시간을 견뎌내고 당당하게 쓰레기를 줍고 비누칠을 하고 지저분한 것들을 물로 씻어내는 그녀의 '작업'이 그대로 춤이 된다.
'수신호' 춤은 어떨까? 지금은 경비원이 된 63세의 공상만씨는 역장으로 10년이나 근무하고 퇴임한 후 다시 지하철 경비로 취업을 했다. 지위가 뒤집어진 현실, 그는 자신의 현실을 받아들이기 위해 후배들한테 인사하는 것으로 경비원의 업무를 시작했다고 한다. 이제는 정년퇴임을 앞둔 친구의 고민을 들어줄 정도의 내공이 생긴 상만씨, 역장으로 일하던 시절 수신호로 열차를 운행했던 그 경험을 춤으로 형상화시켜보고자 한다.
아이를 키우는 지난 16년 동안 마을 버스도 끊어진 시간에 홀로 산속의 집에서 걸어 내려와 야간 근무를 했던 김건순씨는 홀로 아이를 책임지며 살아내야 했던 그 암울했던 시간을 바닥을 하염없이 기듯하는 동작으로 승화시켜낸다.
이름이 같은 김순자씨와 임순자씨는 같은 지하철 역에서 근무하는 선후배 동료이다. 처음 청소 일을 시작했을 때 따뜻하게 일을 가르쳐 주고 다독여 주었던 선배 임순자씨는 여전히 쉬는 시간 김순자씨의 어깨에 파스를 붙여주며 아직 젊은데 이렇게 아파서 어쩌냐며 걱정을 해준다. 너무너무 좋아하는 언니와 동생이 된 두 사람의 '동지애'도 서로를 따스하게 품어주는 이인무로 재탄생되었다.
한때는 동양화가였던 강문수씨의 캐리커쳐로 완성된 <지하철 차차차> 포스터 속 9명의 '춤꾼'들은 장소를 불문하고 장화를 신고 장갑을 끼고 연습을 했다. 그런 그들의 노동 현장 속 땀방울 어린 연습은 그대로 지하철을 타고 오늘도 삶의 현장을 향해 가는 모든 이들의 모습으로 형상화 되어 집단 군무가 되었다.
공연에 참가한 9명의 노동자들, 저마다의 소회를 전한다. 이제 정년을 2년 앞두고 홍혜경씨는 '청소하는 아줌마들 멋지네' 라는 소리가 듣고 싶었다고 한다. 자신이 배남이라는 걸 잊고 살았다는 배남이씨는 자신의 존재를 깨닫게 해준 이 시간이 벅차다고 했다. 강문수씨는 내 동료들이 말하지 못한 것을 대신 표현해 주고 싶었다고 한다. 공상만씨는 새삼 지난 30년 동안 잘 버텨온 자신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안무가 예호승씨는 말한다. 지난 60년 세월을 살아온 9명 저마다의 표정이 그대로 '예술'이라고. 그들이 무대에 서서 보여준 건, 10여 분의 연습된 안무가 아니라, 그 안무 속에 녹여든 그들의 삶과 노동이라고. '예술의 쓸모'는 이렇게 증명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브런치 https://brunch.co.kr/@5252-jh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버지 폭력 트라우마 시달리던 그녀 해방시킨 한마디
- 뇌졸중도 막지 못한 동성 커플의 '험난한' 투쟁기
- 배우 황정민이 진짜 납치됐다고? 이 상상이 현실 된 배경
- "도쿄올림픽, 근심만 가득했다" 외신 평가 박한 이유
- "금메달 아니면 어때?" 올림픽 즐겼던 진짜 승자들
- 김연경과 여자 배구팀이 끝까지 지킨 이 '약속'
- '18만 관객' 흥행 실패했지만, 한석규가 가장 애착 보인 이 영화
- '최악의 혹사' 조상우... 김경문 감독의 판단 착오였나
- 세르비아 못 넘은 한국 여자 배구... 기적의 여정을 끝냈다
- 엄마에게 침 뱉는 금쪽이, 오은영이 지목한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