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의 서막 "남편이 나보다 많이 버니까"

한성주 2021. 8. 7. 07: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노동 망테크]② 성별임금격차→경력단절 양산

<편집자주>여성 노동자의 낙오가 가속화하고 있다. 팬데믹을 계기로 성차별적 노동시장의 고질병들이 두드러지면서다. 성별 직종분리는 임금격차를 심화시켰다. 임금 격차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야기했다. 경력단절을 겪은 여성들은 비정규직으로 수렴됐다. 일하는 여성들이 휘말리게 되는 ‘망테크’(망하는 길)를 따라가 봤다.

여자가 하기 좋은 직업?… ‘여초’업계 저평가
[여성노동 망테크]① 성별 따라 직종분리→임금격차

경력단절의 서막 “남편이 나보다 많이 버니까”
[여성노동 망테크]② 성별임금격차→경력단절 양산

“취준이 불맛이라면, 경단녀 취준은 핵불맛”
[여성노동 망테크]③ 경력단절→독박 가사노동·육아→“취준 틈 없어”

“경력·자격 불문, 선택지는 캐셔·돌봄노동·방문교사뿐”
[여성노동 망테크]④ 비정규직 일색·경력 무시→재취업 일자리 ‘질적 하락’

그래픽=이정주 디자이너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둘 중 하나가 직장을 그만둬야 한다면, 맞벌이 부부는 당연히 더 많이 버는 사람이 직장에 남기로 합의를 보게 돼요. 아이를 키우는 데 돈이 많이 들잖아요. 남편이 저보다 월급을 많이 받으니까 제가 퇴사를 했죠.”

성별에 따른 임금격차가 기혼여성들의 경력단절을 야기한다. 보건의료계에 종사하는 남 모씨(35)는 첫째 아이를 출산한 뒤 경력단절을 겪었다. 윤씨 부부가 맞벌이에서 외벌이로 전환하기 위해 고려했던 사항은 ‘돈’이다. 대다수 기혼 여성 직장인처럼 윤씨도 임신과 출산에 따른 불가피한 공백기를 거쳤다. 엄마가 양육을 맡아야 한다는 사회적 편견도 강요받았다. 하지만 이런 사정을 차치하고, 높은 육아비용을 감당하려면 윤씨보다 급여가 높은 남편이 직장에 남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었다. 

여성은 남성보다 돈을 못 번다. 통계청이 지난해 8월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노동자의 평균월급은 남성이 318만원, 여성이 206만원으로 성별에 따른 차액이 112만원에 달했다. 남성의 월급을 100으로 환산하면 여성의 월급은 64.7% 수준이다. 남성이 100만원을 벌었을 때 여성은 64만7000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고용 안정성이 떨어질수록, 성별에 따른 격차가 더 벌어졌다. 고용형태별로 월평균 남성 정규직은 373만원, 여성 정규직은 274만원을 벌었다. 정규직에서 여성의 월급은 남성의 73.4% 수준이다. 비정규직의 평균 월급은 남성이 213만원, 여성이 138만원으로 파악됐다. 비정규직에서 여성의 월급이 남성의 64.7%에 그쳤다. 양극단에 있는 남성 정규직과 여성 비정규직의 격차는 상당했다. 지난해 남성 정규직의 평균월급을 100으로 환산했을 때 여성 비정규직의 임금은 37.1%다. 남성 정규직이 100만원을 벌 때 여성 비정규직은 37만1000원을 벌었다. 정규직 남편과 비정규직 아내가 자녀 양육을 위해 외벌이로 전환한다면, 아내가 직장을 포기하는 게 당연한 실정이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의 노동에 대한 평가절하가 노동시장에 만연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임금은 항상 남성의 임금을 밑돌았습니다. 여성이 많은 직종일수록 저평가되고, 같은 직업 내에서도 여성은 남성보다 저평가받습니다.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상존하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노동은 남성의 노동을 보조하는 수준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습니다. 여성의 비율이 높은 직업은 남성의 비율이 높은 직업에 비해 전문성과 사회적 가치가 낮은 것으로 규정되기도 합니다. 여성 종사자가 많은 서비스·돌봄·복지·교육 관련 직종의 급여와 처우가 비교적 열악하다는 점이 이를 방증합니다.”

이 같은 상황은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률 그래프에 그대로 드러난다. 경력단절을 상징하는 ‘M자 곡선’이 해마다 뚜렷하게 새겨진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지난 3월 발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고용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5~29세(71.1%)다. 하지만 30대에 들어서며 감소세가 나타났다. 30~34세는 64.6%, 35~39세는 59.9% 등이다. 이후 4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까지 다시 상승해 45~49세가 67.4%, 50~54세가 68% 등으로 집계됐다.

30대 여성의 고용률 감소는 당연한 수순이다. 여성들은 배우자와 자녀를 외벌이로 부양할 정도로 넉넉한 월급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2019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 조사에서 30대 여성의 평균 월급은 294만원, 남성은 362만원으로 집계됐다. 40대로 가면 격차가 더 벌어져 여성은 286만원, 남성은 442만원의 월급을 받았다. 올해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398만3950원이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맞벌이 부부가 외벌이로 전환해야 한다면, 남성의 고정수입을 유지하는 것이 가족 부양에 유리하다. 

문제는 직장을 떠났던 여성이 재취업에 나선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에게는 또 다른 인생 역경이 찾아오는데… [여성노동 망테크]③에서 계속

castleowner@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