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 모기 발견 .. 작년보다 1개월 늦어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2021. 8. 4. 2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됐다.

연구원은 일본뇌염 유행예측을 위해 경산시의 소 축사에 모기 유인등을 설치하고 4~10월 매주 2차례 모기를 채집해 왔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JEV·Japanese Encephalitis Virus)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가 흡혈하는 과정 중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기자] 경북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됐다.

4일 경북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일 경산시에서 채집한 모기 254마리 중 1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지난해 보다 1개월 정도 늦은 시점이다.

연구원은 일본뇌염 유행예측을 위해 경산시의 소 축사에 모기 유인등을 설치하고 4~10월 매주 2차례 모기를 채집해 왔다. 채집한 모기는 모기 종류별로 밀도 조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의 자료로 활용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동물축사, 논, 웅덩이 등에 서식한다.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는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JEV·Japanese Encephalitis Virus)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가 흡혈하는 과정 중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한다.

99% 이상은 무증상 또는 가벼운 증상으로 그치지만, 뇌염 증상을 보인 환자 가운데 30~50%가 반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긴다.사망률이 20~30%에 달한다. 경북에서는 2018년과 2019년 각 1명씩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한 바 있다.

백하주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야외 활동때에는 긴 소매의 옷을 착용해 주시고 물웅덩이나 하수구 등 모기 유충의 서식처를 철저히 소독해 달라"고 당부했다.

영남취재본부 이동국 기자 marisd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