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대어로 꼽던 크래프톤 .. 첫날 경쟁률 2.8대1 그쳐

이태윤 2021. 8. 2. 18: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공개(IPO) 공모청약 대어 크래프톤 첫째날인 2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증권사 창구에서 투자자들이 투자 상담을 받고 있다. 크래프톤은 금융당국이 중복청약을 금지하기 직전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일반투자자들이 여러 증권사에 청약할 수 있는 '중복청약' 막차를 탔다. 공모가는 희망범위 최상단인 49만8000원(액면가 100원)이다. 뉴스1


하반기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힌 게임회사 ‘크래프톤’ 청약이 첫날부터 흥행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청약 첫날 모은 증거금은 1조8000억원으로 경쟁률은 2.79대 1에 그쳤기 때문이다. 앞서 청약을 진행한 카카오뱅크의 첫날 경쟁률(37.8대 1)보다 저조한 성적표다.

2일 대표 주관사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공모주 청약을 받은 증권사 3곳에 모인 청약 증거금은 1조8017억원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이 892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NH투자증권(5139억원), 삼성증권(3958억원) 순 이었다.

특히 여러 증권사 계좌를 통해 중복 청약을 할 수 있었지만, 첫날 증거금 기록은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 중복청약이 가능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22조1594억원)나 SK바이오사이언스(14조1474억원)는 물론 중복 청약이 막힌 카카오뱅크(12조522억원)조차 청약 첫날 10조원 이상의 자금을 끌어왔기 때문이다.

청약 첫날 경쟁률(2.79대1) 역시 SK아이이테크놀로지(78.93대 1), SK바이오사이언스(75.87대 1), 카카오뱅크(37.8대 1) 등에 비하면 저조하다.

증권업계에서는 청약 전부터 이어진 공모가 고평가 논란으로 투자 열기가 한풀 꺾인 것으로 해석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크래프톤의 공모가 산정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청했다. 이에 크래프톤은 공모가를 기존 45만8000∼55만7000원에서 40만∼49만8000원으로 낮췄다.

게임 업체 크래프톤의 공모주 일반 청약 첫날인 2일 오후 서울의 한 증권사 창구에서 투자자가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크래프톤 공모가는 낮췄지만, 고평가 논란 이슈는 이어졌다. 특히 기관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밴드 상단’을 초과하는 금액을 제출한 곳이 24.16%에 그쳤다. 하단을 제시한 기관도 (4.16%) 있었다.

청약 최소증거금이 높은 것도 투자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다. 크래프톤에 최소 단위인 10주를 청약할 경우 증거금은 249만원이 필요하다. 만약 증권사 3곳에 중복으로 청약해 균등배정 물량을 1주라도 더 확보하려 한다면 최소 747만원이 필요한 셈이다.

한편 크래프톤은 오는 3일 오후 4시까지 공모 청약을 진행한 뒤 오는 1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증권가 관계자는 “청약은 일반적으로 둘째 날 투자자가 몰리는 만큼 흥행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