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 나누고 나누고 나누다

2021. 8. 2. 04: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말 '나누다'에는 여러 뜻이 있다.

각자의 몫을 구분해 쪼개는 나눔과 남에게 베푸는 나눔 그리고 요즘 많이 쓰는 함께 소유한다는 공유의 개념까지.

요즘은 공유가 대세다.

집과 사무실을 공유하고 공장도 나눠 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소정 패션마케터


우리말 ‘나누다’에는 여러 뜻이 있다. 각자의 몫을 구분해 쪼개는 나눔과 남에게 베푸는 나눔 그리고 요즘 많이 쓰는 함께 소유한다는 공유의 개념까지. 나눗셈의 어원이 되는 첫 번째 개념은 공정하게 내 몫을 할당받는다고 할 때도 쓰이지만 아무튼 나눌수록 내 몫은 작아진다. 일본 도쿄 시내에서 몸을 겨우 누일 침대 하나에 여행짐을 놓으면 걸어 다닐 틈도 안 나오는 작은 호텔방에 묵으며, 공간을 계속 나누다 보면 이렇게 되겠구나 싶었다.

남에게 베푸는 나눔은 나눌수록 내 손에서는 떠나 없어지지만 상대에게 더 귀하게 쓰일 수 있어 기분 좋은 행복감을 남긴다. 아이와 봤던 ‘무지개 물고기’라는 동화가 그랬다. 아름다운 비늘을 내가 다 갖고 있을 땐 겉은 화려해도 시기의 대상이 될 뿐이다. 하지만 하나하나 나누면 나를 좋아하는 타인이 많아지는 행복을 얻는다. 당장엔 동화 속 푸른 물고기처럼 남의 물건을 탐내며 따돌림까지 시키는 이가 더 나쁘고, 남에게 다 주고 나서 헐벗은 무지개 물고기의 모습이 부당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겪어보면 달라진다. 내 것을 나누다 보면 생각지 못한 행복을 더 많이 얻게 되더라는 걸.

요즘은 공유가 대세다. 집과 사무실을 공유하고 공장도 나눠 쓴다. 어디까지 나눌 수 있을지 궁금하다. 공간만 나누는 줄 알았더니 새벽에는 김밥을 만들고 낮에는 도시락을 만드는 공유 주방처럼 시간을 나눠 쓰는 아이디어도 속속 등장한다. 옷가게를 나눈다고 하면 예전에는 큰 매장을 여러 브랜드가 조금씩 나눠 차지했었는데, 이제는 보름이나 한 달씩 교대로 사용하는 곳이 생겨 온라인 브랜드들에 좋은 기회가 된다고 한다. 물론 이렇게 나누다 보면 불편도 있고 배려 없는 이들로 화도 난다. 그래도 혼자 모든 걸 감당하는 것보다 나누는 게 분명 이득이다. 어디 그뿐일까. 잘 나누다 보면 나 혼자는 알 수도 할 수도 없던 일이 이뤄지는 뜻밖의 경험도 분명히 하게 될 테다. 할 수 있다면 더 나누자.

윤소정 패션마케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